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에 대비해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대만 등에서 군사적 위협 행위를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비판도 나온다.
일본 집권 자민당 모리야마 히로시 간사장과 니시다 마코토 공명당 간사장을 중심으로 한 방중 의원단은 1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회담했다. 6년 만에 재개된 ‘중·일 여당 교류협의회’ 참석을 위해 지난 13일 베이징에 도착한 일본 의원단은 중국 고위 인사를 연이어 만나고 있다. 전날에는 왕후닝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왕이 외교부장 등과 면담했다. 의원단은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7명 중 2명, 중앙정치국 위원 24명 중 3명과 만났다.
의원단은 중국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철폐를 요청했는데, 왕 부장은 “안전하다면 수입을 재개하겠다”며 긍정적인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아사히신문은 “중국이 일본에 다가가는 배경에는 미국이 있다”며 “이달 출범하는 트럼프 정부가 대중국 강경 노선을 강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중국은 일본과의 경제 연계를 강화하고 싶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일본뿐 아니라 여러 나라와의 관계 개선에 힘쓰고 있다. 홍콩 문제 등으로 관계가 악화됐던 영국과는 경제·금융대화를 6년 만에 재개했다. 지난 12월에는 호주산 소고기 등에 대한 수입 금지를 해제하며 호주와의 무역분쟁을 끝냈다. 국경 문제로 대립해온 인도와도 지난해 10월 정상회담을 열며 화해 무드를 조성했다.
하지만 의심의 눈초리도 여전하다. 요미우리신문은 “호전적인 언행으로 상대를 위협하는 전랑(늑대전사)외교를 버렸다기보다는 중국 스스로의 편의에 따라 태도를 바꾸고 있는 것”이라며 “중국은 미소외교를 펼치면서도 힘으로 상대를 굴복시키려는 난폭한 수법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과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주변에 해경선을 보내고 대만 주변에서 군사훈련을 거듭하는 행위를 꼬집은 것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