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감원 포함 원점 논의”

입력 2025-01-14 18:53 수정 2025-01-15 00:05
의료진과 환자가 14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오는 3월 수련에 들어갈 레지던트 모집이 15~17일 진행된다. 뉴시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026학년도 의대 증원에 대해 동결과 감원을 포함해 의료계와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의대 정원 감축까지 열어두고 의료계와 논의할 뜻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해를 넘긴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해 새로 취임한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을 중심으로 의료계가 단일안을 마련해 정부와의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조 장관은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2026학년도 정원에 대해서는 ‘제로베이스’에서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원점이라는 것은 동결과 증원, 감원이 다 포함된 것이냐”고 묻자 “맞다”고 답했다. 앞서 지난 10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26학년도 정원 논의에 대해 ‘제로베이스’라고 언급하면서도 “입시에 큰 혼란이 없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조 장관은 의협과 정원 논의도 서두르겠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그동안 의료계가 대안을 제시하면 제로베이스에서 검토하겠다는 말씀을 전달해 드렸고, 이번에는 의료계의 선(先) 제안이 없어도 같이 논의해보자는 입장”이라며 “3월 신입생이 돌아오기 전에 최대한 빨리 협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선포 당시 포고령에 담긴 ‘전공의 미복귀 시 처단’ 문구에 대해서는 “상처를 받았을 전공의에게 미안한 마음을 갖고 있고, 위로를 전한다”며 “포고령은 정부 정책 방침하고 워낙 다른 것이라 절대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날 취임식에서 정부가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면 대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 상태로는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정부가 인정하고, 2025학년도 의학교육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만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비롯한 의대 교육 계획 역시 논의하고 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 의협 모두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만큼 이제는 의료계가 단일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요구도 커지고 있다. 의료계에서는 의협을 중심으로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등이 참여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진우 대한의학회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의협을 중심으로 협의체를 만들어야 하고, 앞으로는 (단일 창구를 만드는 방식으로) 논의가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도 “의협에 전공의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의협이 중심이 돼 전공의·의대생 의견을 반영해 제언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단일 창구가 만들어질 경우 전공의와 의대생 참여가 관건이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회장 취임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단일 창구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김유나 이정헌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