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서울·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령자·청년 근로소득자를 위한 맞춤형 공공주택(특화 공공임대주택) 1983가구를 전국 11곳에 공급한다고 14일 밝혔다.
국토부는 우선 ‘고령자복지주택’ 총 310가구를 경기 남양주, 강원 양구군에 짓기로 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 대상으로 미닫이 욕실문, 안전손잡이 등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이 있다. 국토부는 올해 지자체 등의 공모를 받아 2000가구의 고령자복지주택을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가 맞춤형으로 입주자 자격, 거주기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서울 금천구·영등포구, 강원 인제군에 총 1234가구 규모가 들어선다. 금천구에는 금천구청역 철도공사 보유부지에 청년 근로소득자 대상 특화주택 254가구가 공급된다. 영등포구청역 인근 당산동 공영주자창 부지에는 무주택자 중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380가구 규모의 양육친화주택이 추진된다.
근로자의 직주 근접성이 확보된 ‘일자리 연계형 지원 주택’은 총 439가구가 공급된다. 경기 성남 판교테크노밸리에는 소득이 비교적 낮은 청년을 대상으로 한 공공임대주택 304가구가 들어선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