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들이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착한 선결제’ 운동을 잇따라 추진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4일 내수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착한 선결제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식당, 카페, 미용실 등 소상공인 업체에 먼저 결제하면 자영업자는 결제 범위 내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 지역내 경제선순환 구조를 만들자는게 핵심이다. 도는 먼저 ‘착한 업소’로 지정된 415곳을 중심으로 45만원 상당을 선결제 한 뒤 향후 재방문을 약속하기로 했다.
전북자치도는 출자·출연기관과 시·군, 도내 공공기관 등에 동참을 요청하고, 도민을 대상으로도 캠페인을 확산해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겠다는 계획이다. 1차 시기는 다음 달 28일까지다.
도는 직원 송별회·환영회 또는 정기회의 등 개최일자, 참석자 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간담회 등은 영세 소상공인 식당을 활용토록 했다. 소요물량이 파악되는 사무비품, 임차료 또한 선결제 하도록 했다. 또 착한 선결제(10만원 이상) 인증 도민을 대상으로 추첨해 150명에게 1인당 2만원의 온누리상품권을 선물할 예정이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착한 선결제는 소비 촉진을 통한 경제회복 시기를 앞당기는 촉매가 되고 소상공인에게 희망을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도 지난해 12월부터 ‘부산형 착한 결제 캠페인’을 시행 중이다. 박형준 부산시장 등이 영도구 남항시장을 찾아 캠페인을 시작한 이후 기관별 업무추진비 일부를 설 명절 전까지 미리 결제하고 재방문하는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4월 6일까지 10만원 이상을 미리 결제한 후 영수증과 인증 사진을 부산시 홈페이지에 올리면 매주 70여명을 선정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대전시와 경남 김해시, 창원시, 경기 수원시 등도 최근 소비 진작과 골목상권 기 살리기에 나섰다. 창원시는 내달 말까지 전 부서 업무추진비와 급량비의 30%에 해당하는 20억원을 선결제 하도록 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