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도 “체포 막는 경호처 직원·국회의원, 현행범 체포”

입력 2025-01-13 18:34 수정 2025-01-14 00:02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재발부받은 지 일주일을 맞은 1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경호처 대테러과 소속으로 추정되는 직원이 순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2차 집행을 막는 대통령경호처 직원에 대해 현행범으로 체포, 복수의 경찰서로 분산 호송해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영장 집행 저지에 나설 경우 강력히 대응하겠다며 압박 수위를 높인 것이다. 수도권 광역수사단 지휘관들은 지난 10일에 이어 이날 두 번째 전략회의를 여는 등 체포영장 집행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영장 집행에) 협조하는 직원에겐 선처할 것이니 최대한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수단은 체포영장 집행을 물리력으로 막기는 어렵다는 경호처 내부 기류를 의식해 현행범 체포와 선처 방침을 동시에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영장 집행을 방해하는 국회의원도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도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국민의힘 의원은 물론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결성한 이른바 ‘백골단’도 영장 집행을 방해하면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다고 했다.

특수단은 1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 채증 영상을 활용해 경호처 직원들을 추가 입건할 방침이다. 경찰은 특수공무집행 혐의가 포착된 직원 26명에 대해 경호처에 신원 확인 요청 공문을 보냈지만 회신은 없는 상태다. 다만 경찰은 체포영장 집행 저지에 동원된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55경비단 일반병사들은 별도로 입건하지 않을 방침이다.

특수단은 영장 집행 과정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열어뒀다. 특수단 관계자는 ‘영장 집행 과정이 하루를 넘어 이틀, 사흘로 늘어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경찰 내부에서는 장기전에 대비해 광역수사단 등 경력에 보조배터리, 방한도구 등을 준비하라는 지시가 내려간 것으로 전해졌다.

2차 체포영장 집행 시 안전이 최우선 원칙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특수단 관계자는 “제1 원칙은 안전”이라며 “인명 피해 및 유혈 사태가 없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체포를 저지한 혐의를 받는 경호처 간부와 관련한 수사도 진행 중이다. 경찰은 김성훈 경호차장에 이어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해서도 체포영장을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이 본부장은 이날 경찰의 3차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경찰은 김 차장, 이 본부장과 함께 경호처 내 ‘강경파’로 분류되는 김신 가족부장에게도 14일 출석하라고 통보했다. 박종준 전 경호처장은 경찰청에 세 번째로 출석해 조사에 협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단은 현재 박 전 처장의 동의를 받아 휴대전화 포렌식 분석을 진행 중이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