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정지 상태인 윤석열 대통령이 무기를 써서라도 자신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라고 대통령경호처에 지시했다는 의혹을 야당이 제기했다. 윤 대통령 측은 “가짜뉴스”라며 즉시 유감을 표했다.
윤건영(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3일 기자회견을 열어 윤 대통령이 전날 김성훈 차장(처장 직무대행), 이광우 경호본부장을 비롯한 경호처 간부 6명과 점심을 먹으며 무기 사용을 종용했다는 제보를 소개했다. 윤 의원은 “(윤 대통령이) ‘나를 체포하려고 접근하는 경찰들에게 총은 안 되더라도 칼이라도 휴대해서 무조건 막으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런 위법한 지시는 한 차례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윤 대통령이 지난 11일에도 경호처에 무력 사용을 검토하라고 했다는 언론 보도를 거론했다. 윤 의원은 “경호법상 현 상황에서 경호관들이 총기와 칼 등 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마지막 양심이 있다면 그들에게 범죄자가 되라고 요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민수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충격을 넘어 경악스럽다. 망상에 빠져 내란을 일으키더니 이제 내전을 벌이려고 하느냐”며 윤 대통령의 조속한 체포를 촉구했다. 전현희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체포가 국격 회복”이라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 공조수사본부는 당당하게 법을 집행하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측은 그러나 이런 의혹 제기를 ‘가짜뉴스’로 규정하고 유감을 표명했다. 윤 대통령 측은 입장문을 내고 “대통령은 평소 일상적인 업무 매뉴얼에 의한 적법한 직무수행을 강조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 측 관계자는 “상식적으로 생각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경호처는 또 경호처 간부가 무장 지시에 반발했다가 대기발령 조치됐다는 주장과 관련해 ‘(반발이 아닌) 여러 경로를 통한 기밀사항 유출 혐의 때문’이라는 입장을 냈다. 경호처는 해당 간부에 대해 “올 1월 한 호텔에서 국가수사본부 관계자 2명을 만나 군사 주요 시설물 위치 등 내부 정보를 전달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회의 발언에 대한 불이익이 아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측도 “국수본이 각종 범법 행위를 자행하며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가하는 위법 수사를 했다”고 비난했다.
해당 간부는 전날 경호처 4급 이상 회의에서 “윤 대통령 비호를 위해 경호처 직원들을 볼모로 삼고 있는 것 아니냐”며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의 사퇴를 공개 거론한 이후 대기발령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송경모 이경원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