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상반기에 대출 바짝 당긴 은행들… 작년 연간 목표치 최대 7배 초과

입력 2025-01-14 02:04
사진=연합뉴스

4대 은행이 지난해 설정한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모두 넘겨 대출을 취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대출 문턱을 높이며 부랴부랴 강도 높은 가계대출 관리에 들어갔음에도 은행에 따라 최대 7배까지 목표를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정책대출 제외)은 총 516조769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503조4131억원) 대비 13조3561억원 늘어난 수치로 4대 은행이 지난해 초 자체적으로 설정한 목표 합계 증가액(9조3569억원)을 4조원 정도 초과했다.

개별 은행들 역시 목표치를 모두 뛰어 넘었다. 특히 우리은행은 목표치 대비 705.5%의 가계대출 실적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치로 4대 은행 중 가장 낮은 2209억원(가계대출 잔액 기준 증가율 목표치 0.19%)을 설정했지만, 실제 증가액은 목표치의 7배를 웃도는 1조5584억원이었다.


하나은행은 4조4740억원의 증가액을 보였다. 목표치 2조7828억원(2.27%)의 1.6배로 증가액을 기준으로 할 때 4대 은행 중 가장 많다. 신한은행도 같은 기간 3조8869억원이 늘면서 목표치 3조506억원(2.60%)을 8000억원 이상 초과했다. 국민은행은 3조4368억원을 기록했다. 목표치(3조3000억원·2.30%)를 1300억원 정도 초과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10월 말 기준 116%의 초과 대출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연말엔 104.1%까지 낮췄다.

그동안 은행들은 연초 대출 한도가 새롭게 설정되면 문턱을 낮춰 공격적으로 대출 영업을 해왔다. 그러다 4분기 정도부터 목표치를 맞추는 ‘관리’에 들어갔다. 지난해에는 이 같은 움직임이 더욱 뚜렷해졌다. 상반기부터 가계대출 수요가 몰리면서 은행권에서 경쟁적으로 대출을 받았고, 정부 압박 수위가 거세지자 뒤늦게 관리에 돌입했다. 대출 중단이라는 초강수까지 두며 잔액 줄이기에 안간힘을 썼었다. 이 과정에서 상환 여력이 충분한 실수요자들 대출까지 막혀 혼란이 야기되기도 했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는 특정 기간에 대출 쏠림이 나타나지 않도록 가계대출을 월별·분기별로 관리할 방침이다. 지난해 연간 목표치를 초과한 은행에는 은행의 리스크 관리 수준에 따라 페널티를 부과할 계획이다. 4대 은행 모두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목표치 초과분만큼 올해 대출 목표 물량에서 깎을 가능성이 높다.

이인영 의원은 “은행들은 지난해 초부터 꾸준히 대규모 신규 가계대출 수요가 몰리며 가계대출 증가율 경고등이 울렸음에도 하반기 들어 극단적 대출 관리에 나서는 등 늑장대응 행태를 보였다”며 “목표치를 7배 이상 초과한 은행도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강력한 페널티와 더불어 엄격한 가계대출 관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황인호 구정하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