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저지를 주도한 박종준 전 대통령경호처장이 10일 경찰에 전격 출석했다. 앞서 경찰의 두 차례 출석 요구에 불응한 뒤 세 번째 '최후통첩' 시한에 맞춰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의 '키맨'인 박 전 처장이 출석하면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 등으로 구성된 공조수사본부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박 전 처장은 경찰 출석 전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에게 사직서를 제출했고, 최 권한대행은 조사가 이뤄지는 중 이를 수리했다.
박 전 처장은 이날 오전 10시쯤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에 피의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했다. 박 전 처장은 취재진과 만나 작심한 듯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의 부당함을 주장했다. 그는 "현재와 같은 체포영장 집행 방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대한민국 국격과 대통령에게 맞는 적정한 수사 절차가 진행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여권 관계자는 "무리한 체포영장 집행으로 불상사가 발행하지 않도록 해달라는 간곡한 뜻을 사의로 대신한 것"이라고 전했다. 경호처장 직무대행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맡을 예정이다.
박 전 처장의 전격 출석과 사직으로 경찰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경찰은 박 처장이 3차 요구에도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 신청 등의 강제수사를 고려했었다. 하지만 박 전 처장이 예정 시간에 출석한 데다 사임 사실까지 알려지자 경찰이 허를 찔린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박 전 처장의 출석 때 발언은 보수층 여론을 결집하려는 의도였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경찰은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의 집행 성공을 위해 작전계획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이날 오후 서울, 인천, 경기남부, 경기북부 등 수도권 광역수사단 책임자들을 국수본에 소집했다. 특수단은 요새화된 대통령 관저를 뚫기 위해 강력범 체포에 특화된 형사기동대, 반부패수사대, 마약범죄수사대 등 수도권 광역수사단 인력 약 1000명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다. 특수단은 2차 출석 요구에 불응한 이광우 경호처 경호본부장에게 오는 13일 오전 10시까지 출석하라고 통보했다.
윤예솔 기자 pinetree2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