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입 열 때마다 ‘들썩’… K-조선 미 군함 수주 기대감

입력 2025-01-07 18:3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자국 해군의 재건을 위해 동맹국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한국 조선업계가 들썩였다. 유의미한 대형 선박 건조 역량을 갖춘 국가는 중국을 제외하면 한국과 일본뿐이기 때문이다. 미 해군이 아직은 해외 조선사에 비전투함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참여만 허용하고 있지만 향후 전투함 MRO 및 함정 건조까지 맡길 수 있도록 규제 완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6일(현지시간) 현지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해군을 재건할 계획이 있냐고 묻는 말에 “미국은 선박이 필요하지만, 우리는 배를 더는 만들지 않는다”며 “선박 건조와 관련해 동맹국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해군과 관련해 아주 좋은 것을 발표할 것”이라며 “독(dock)이 없고 선박(건조) 준비가 안 돼 있다. 준비될 때까지 (다른 나라에) 주문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1970년대 연간 1000척 규모의 세계 1위 건조 능력을 갖췄던 미국 조선업은 높은 인건비, 산업 구조 변화 등에 따라 내리막을 걸었다. 현재는 연평균 선박 건조 수량이 10척 안팎에 불과하다. 이에 미국은 핵심 안보 파트너인 동시에 조선 강국인 한국과 일본의 힘을 빌려 해군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유엔무역회의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세계 선박 건조량 점유율은 중국 51%, 한국 28%, 일본 15%였다. 미국은 0.1%에 그쳤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대선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선박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다”며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함정 MRO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카를로스 델 토로 미 해군성 장관 역시 지난해 2월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양국 조선업체의 대미 투자를 독려했다.

현재 한국 조선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미국 함정 관련 프로젝트는 비전투함 MRO 사업에 한정된다. 국내 조선업계는 단기적으로 비전투함 MRO 사업을 수행하며 미 해군의 신뢰를 쌓고, 이를 바탕으로 전투함 MRO나 군함 외주 생산까지 허용되는 시기가 오면 기회를 잡겠다는 계획이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8월 수주한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쉬라의 정비를 완료해 올해 1분기 내 본국으로 인도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에 수주한 미국 해군 7함대 소속 급유함 유콘의 정기 수리 사업도 상반기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그간 특수선 독 부족으로 MRO 수주에 나서지 못했던 HD현대중공업 역시 올해부터 수주에 뛰어든다. HD현대중공업 측은 “MRO 사업을 위한 독을 확보해 본격적으로 관련 사업에 착수할 방침”이라며 “미 해군이 요구하는 성능, 비용, 납기 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만큼 MRO 사업을 통해 양국 간 협력에 이바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