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다양성 작가들 격려 자리… “없던 힘까지 내서 신작 그렸죠”

입력 2025-01-08 01:22
‘국민일보 아르브뤼미술상’을 후원하는 원로 이건용 작가가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이촌동 자택에서 제3회 아르브뤼미술상 수상자 전시회에 출품할 신작 ‘드로잉의 방법, 76-4-2025’를 제작하고 있다. 한국의 1960~70년대 실험미술 거장인 이 작가는 일부러 신체에 제약을 가하는 퍼포먼스로 당시 군사독재 사회를 은유했다. 김지훈 기자

“신경다양성 수상자들을 응원하고 격려하는 자리라니, 없던 힘도 만들어서 내야지요.” 50호 ‘신체 드로잉’ 연작 두 점이 순식간에 탄생하자 가족들 사이에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새해 첫 신작이었다. 2023년의 무리한 해외 일정 탓에 병원 신세까지 져야 했던 이건용(83) 작가는 몸이 회복된 후에도 여전히 살얼음위를 걷듯 속도 조절을 하고 있다. 그런데도 “신경다양성 신진 작가 격려용 찬조 출품”이라는 말에 힘이 솟으며 팔을 걷어붙인 것이다. ‘제3회 국민일보 아르브뤼미술상’ 수상자 시상식 및 전시회 개막식이 오는 22일 서울 종로구 복합문화공간 KCDF갤러리에서 열린다.

전시 개막을 앞두고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이 작가의 자택 겸 작업실을 찾았다. 아르브뤼미술상은 이 작가의 후원을 기반으로 제정됐다. 단발성이 아니라 5년간 후원키로 함으로써 상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두보를 놓았다.

또 다른 신작 ‘바디스케이프, 76-1-2025’를 제작하는 모습. 김지훈 기자

한국의 1960~70년대 실험미술의 거장으로 불리는 이 작가의 작품 세계는 어떤 면에서는 자폐, 지적 장애, 정신 장애로 불리는 신경다양성 신진 작가들의 작품 세계에 닿아있다. 회화도 조각도 아닌 전위적인 실험미술을 한 이 작가는 신체를 사용한 퍼포먼스를 하고 결과물이 회화가 되는 ‘바디스케이프(신체 회화)’ 연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개중에는 팔에 부목을 대고 붕대를 감은 채 드로잉을 하거나 건빵을 먹는 퍼포먼스도 있다. 이는 60~70년대의 박정희 독재정권이 사회에 가하는 제약에 대한 은유였고, 미술을 통한 저항의 언어이기도 했다.

이 공모전은 발달장애로 불리는 신경다양성 예비 작가들을 대상으로 한다. 장애는 특정 부류를 배제하고 제약을 가하는 등 사회가 가한 제약이라는 점에서 수상 작가들의 작품 세계는 그런 제약을 뛰어넘으려는 예술적 충동의 발현이라 볼 수 있다.

아들 이호준씨가 이 작가의 팔에 붕대를 매는 모습. 김지훈 기자

이날 이 작가는 거실 테이블 앞에 앉아 오른팔에 길이가 다른 부목 2개를 대고 깁스를 하듯 붕대를 칭칭 감게 한 뒤 캔버스 위로 팔을 뻗어 선을 그었다. 맨 처음 팔이 부자유스러워 짧은 선이 그어졌다. 이어 긴 부목을 떼자 한결 거동이 수월해져 보다 긴 선이 그어졌다. 마지막에 짧은 부목마저 떼어내자 자유로워진 팔로 마음껏 긴 선을 그었다. 부채처럼 펴지며 삼단으로 구성된 드로잉에 숨겨진 작업 과정은 이렇게 뜻이 깊다.

이 작가는 “70년대에 이런 작업을 했다. 우리 신체가 가지고 있는 그 기능 자체를 제한함으로써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 그것 때문에 생기는 부자유를 보여주는 퍼포먼스였다”면서 “우리를 통제하고 제약하는 군사정권 사회를 보여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퍼포먼스는 이것으로 그치지 않고 아크릴 물감을 붓에 듬뿍 묻혀 캔버스 뒤에서 선을 긋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연두색 밑칠에 군청으로 굵은 선을 긋고, 흰색의 물감을 듬뿍 묻혀 흘러내리듯이 그었다. 물론 캔버스 뒤에서 손을 뻗어 그런 행위가 이루어졌다.

두 점의 작품 제작은 1시간만에 이루어졌다. 수상 작가들을 응원하고 싶은 마음에 힘이 불끈 난 것이다.

그는 “신경다양성 수상자들의 작품 세계에서는 기성작가에게서 찾아보기 어려운 순수함과 우직함이 보인다”며 “세상을 또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느끼게 해 준 작가 분들과, 작가들을 옆에서 도와주시는 가족분들을 힘껏 응원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에서 장애예술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민일보 아르브뤼미술상이 그 구심점 역할을 해 기쁘다”고 강조했다.

“아르브뤼미술상이 해마다 좋아지는 거 같습니다. 올해는 회화는 물론 입체와 영상까지 있다고 하니 하루라도 빨리 전시장에서 실물을 보고 싶은 마음입니다.”

이 작가는 부친과 동생이 목사로 활동한 독실한 기독교 집안 출신이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2014년 개인전을 가진 걸 계기로 종전의 십일조에서 한발 나아가 십이조(수입의 20%를 사회에 환원)를 실천하고 있다.

손영옥 미술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