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인데 尹 지지율 40%대?… 민주당 “여론 호도 시도, 고발 추진”

입력 2025-01-07 03:00

탄핵 정국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30~40%대로 높게 나온 여론조사를 놓고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부정선거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는 문항도 함께 배치해 강성 보수층 응답이 과다 표집됐을 가능성이 여론조사 업계에서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이 편향적 여론조사라며 법적 대응을 시사하자, 국민의힘은 ‘고발 겁박’이라며 반발했다.

국민일보가 6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등록된 최근 여론조사 설문지와 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윤 대통령 지지율이 각각 40%, 34.3%로 집계된 한국여론평판연구소(아시아투데이 의뢰)와 여론조사공정(파이낸스투데이·더퍼블릭 공동 의뢰)의 조사는 모두 무선 RDD ARS 100%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유로 든 부정선거 의혹을 언급하며 ‘선관위 선거시스템 공개 검증 필요성’을 묻는 문항이 공통으로 들어갔다. 해당 질문에 동의한다는 응답은 각각 44%, 43.6%로 높게 집계됐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익명을 요구한 여론조사 업계 관계자는 “질문 자체에서 정치적 의도가 느껴지면 응답자들이 답변을 거부하는 경우가 생겨 특정집단 답변이 과표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도 “정치적 편견을 가질 수 있는 설문 문항을 늘어놓으면 여론조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 전과 후의 지지율 조사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실제 한국갤럽과 리얼미터 등은 윤 대통령 직무정지 이후에는 국정수행 평가 조사를 중단했다. 윤희웅 오피니언즈 대표는 “기존에 진행됐던 직무수행 평가와 탄핵 이후 지지율 조사 결과를 단순 비교하긴 어렵다”며 “현 국면에서 ‘지지하느냐’고 묻는다면 진영 논리에 따라 응답하는 경향성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윤 대통령 지지율 조사와 별개로 실제 보수 진영의 결집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실제 리얼미터가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무선 97%·유선 3% 자동응답 방식)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34.4%로 나타났다. 계엄 사태 직후인 12월 2주차(25.7%)에서 9% 포인트 가까이 오른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화면접 조사가 아닌 ARS 방식은 응답율이 5% 안팎에 그치고 정치 고관여층이 많이 응답하기 때문에 갈등 상황에서 양 진영 지지율이 결집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박근혜 탄핵 트라우마’를 겪은 보수 지지자들 사이에서 야당에 정권을 또 넘겨줄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작동했다는 해석도 나왔다. 여권 관계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 때는 (보수가) 일방적으로 당했지만 그래도 지금은 맞서 싸우려는 모습을 보인다”며 “계엄도 문제지만 그래도 이재명은 안 된다는 ‘반이재명’ 정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 대변인은 윤 대통령 지지율이 40%대로 나온 여론조사 결과를 거론하며 “문항 설계 자체가 특정한 방향으로 (결과를) 유도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여론조사를 통해 여론을 호도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을 추진하는 방안이 논의됐다”고 말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무슨 조항으로 고발하겠다는 건지 밝히라”며 “여론조사마저 길들이려는 간악한 시도로 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판 송경모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