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당 의원들까지 공무집행 방해할 셈인가

입력 2025-01-07 01:20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유효기간 만료일인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국민의힘 의원들이 모여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의원들이 어제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집결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압수수색 영장 집행 만료일에 맞춰 체포를 저지하려는 목적이었다. 김기현 나경원 윤상현 조배숙 박대출 의원 등 중진 포함 40여명인데, 전체 소속 의원의 40%가 넘는다. 이들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내란죄 수사 권한이 없고, 관저가 압수수색 제한을 받는 보안시설인데도 예외 규정을 넣어 영장을 발부한 것은 무효라고 주장했다.

집권당 의원들이 국가 공권력 행사를 막으려고 집단행동에 나선 것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대통령 경호처가 공수처의 영장 집행을 막아선 것처럼 공무 집행을 방해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 법원이 영장을 발부한 것은 경찰·국방부와 공조수사본부를 꾸린 공수처에도 수사 권한이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보안시설 예외규정도 계엄 사태 주범으로 지목된 윤석열 대통령이 소환 조사를 3차례나 거부한 채 관저 안에 머물고 있어 수사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설사 이들 의원 주장에 일리가 있다고 해도 그걸 관철하는 방식이 물리력 행사여서는 안 된다. 권한쟁의심판이나 효력정지 가처분, 구속 전 피의자 심문, 재판 등에서 얼마든지 법리로 다툴 수 있다.

몇몇 이유를 내세웠지만 결국 이들의 행동은 ‘윤석열 지키기’로 비칠 뿐이다. 실제 이들 중 일부는 최근 극우 세력이 주최한 탄핵 반대 집회에서 “탄핵 반대는 성스러운 전쟁” “윤 대통령을 지키는 것은 대한민국 체제를 지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 전체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할 집권당이 계엄을 옹호하는 일부 세력에 동조해 영장 저지와 같은 극단적 행동에 나서선 안 된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는 시대착오적이고 반민주적이라는 게 국민 다수의 생각인데, 그걸 부인하는 세력과 궤를 같이하는 것은 대다수 국민과 등을 지겠다는 뜻이나 마찬가지다. 집권당 의원들까지 그러면 국론 분열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당 지도부도 이들의 행동을 “개인 판단”이라며 수수방관할 게 아니라 행동 중단을 강하게 촉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