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 불확실성으로 2025년이 금융권에 도전적인 한해가 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4대 금융그룹 수장들이 신년사로 ‘내부통제’와 ‘상생’을 강조했다. 금융 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지난해를 반성하고 내부 리스크를 최소화해 신뢰를 높이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대내외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갈등 요소들로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라며 “고객과 시장의 불안감을 상쇄할 수 있도록 견고한 신뢰와 안정감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주주환원 강화, 조직 효율화를 이뤄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빅테크, 플랫폼 기업은 더 이상 우리의 경쟁자가 아니라 파트너”라며 다른 기업과의 활발한 협업을 독려하기도 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신년사에서 “치열한 금융환경 속에서 안타깝게도 우리는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 역량을 확보하지 못한 것 같다”며 임직원에게 쓴소리를 했다. 함 회장은 “비우호적인 시장 여건을 탓하거나, 작은 회사 규모를 이유로 낮은 시장점유율을 당연시하는 것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은행 본연 사업의 경쟁력을 높여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일환으로 “부족한 손님 기반을 늘리고 철저한 리스크관리와 엄격한 내부통제, 효율적인 비용으로 내실을 다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올해는 신한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서 밝힌 주주 및 시장과의 약속도 성공적으로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 내부통제에 역점을 두고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지만 부족한 점이 있었다”며 “보다 실질적인 내부통제 체계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반을 꼼꼼히 살피고 임직원 윤리의식을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녹색금융 등을 통한 기후 문제 해결, 저출생 및 청년 문제 해결에도 힘을 더하겠다고 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뼈아픈 사고로 신뢰가 훼손된 우리금융을 더 단단한 신뢰 기반에 세워야 한다”며 “올 한해를 비상경영 체제로 운영하며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강한 대응력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그룹의 내부통제 체계 전반을 근원적으로 혁신해 나가겠다”며 “내부통제 혁신안을 철저히 마련하고 신속히 이행해, 윤리적 기업문화를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직원들에게 “금융 취약계층과 소외된 이웃을 포용하고 상생의 가치를 실천하자”고 당부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