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넘긴 의정 갈등… 2026년 의대 정원 절충점 찾을까

입력 2025-01-02 03:14

전국 의과대학에서 지난 31일 2025년도 정시 모집이 시작됐다. 입시 일정이 본격화되면서 의료계가 백지화를 요구하던 2025년도 의대 증원은 되돌릴 수 없게 됐다. 다만 의·정 갈등은 해를 넘겨서도 지속될 전망이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놓고 갈등이 격화될 전망이다.

1일 교육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전국 의대 39곳은 전날부터 정시 원서 접수를 시작했다. 이번 정시 선발 규모는 지난 30일 오후 6시 기준 1597명이다. 수시모집에서 충원되지 않은 인원 105명이 더해졌다. 다만 수시 합격자가 입학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정시 선발 인원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올해 전체 의대 모집 인원은 전년(3113명) 대비 1497명 늘어난 4610명이다.

올해 의대 증원이 마무리된 만큼 의료계도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한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의대 교육을 정상화할 방안과 함께 내년 의대 정원을 서둘러 협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이제는 의사들도 증원된 의대 교육을 지원할 방안을 모색하면서 정원 조정을 요구해야 한다”며 “원점 재검토와 같은 ‘무조건 반대’만 주장해선 국민조차 설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의료계는 2026학년도 모집 중단으로 논의 초점을 옮겨가는 분위기다. 올해 모집이 마무리되더라도 증원된 의대에선 교육 파행이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선 올해 증원된 규모만큼 내년 의대 모집 정원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사실상 내년 정원을 줄여 올해 증원의 효과를 무산시키겠다는 구상이다.

김교웅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의장은 “정상적인 의학 교육을 위해선 2026년에는 의대 모집을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도 지난달 22일 열린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내년도 의대 모집 중단 요구를 시사한 바 있다. 국회에선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의대 증원에 따른 사회적 부작용을 이유로 증원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는 내용의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의료계가 마주 앉아 내년도 의대 정원을 논의하는 자리가 순조롭게 마련될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에서 내년 정원을 다루자는 입장이지만, 의료계는 결정권이 없는 자문위원회라는 이유로 반대한다. 의료계에선 이르면 4일 선출되는 의협 차기 회장이 의·정 협상을 주도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후보들은 2026학년도 모집을 전면 중단하거나 기존 정원마저 대폭 감축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협의에 난항이 예상된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