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내년 항공안전투자비용 목표액을 올해보다 12% 가까이 낮게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은 항공안전법 등 법규 위반으로 최근 5년간 항공당국에서 부과받은 과징금 규모가 10개 국적 항공사 중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의 항공안전투자공시 현황을 보면 제주항공이 지난 7월 공시한 내년 안전투자 목표계획액은 5234억36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923억5600만원)보다 약 689억원(11.6%) 줄었다. 국토부 항공안전투자공시 대상 저비용항공사(LCC) 9곳(제주항공·에어부산·진에어 등) 중 내년 안전투자 목표액을 줄인 항공사는 제주항공을 포함해 에어부산, 에어로케이 3곳이다.
제주항공은 생산된 지 20년을 초과한 ‘경년항공기’의 교체 투자액을 올해 3025억2500만원에서 내년 2305억5600만원으로 줄였다. 특히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의 구축 유지관리’의 투자액은 같은 기간 1억5200만원에서 5500만원으로 3분의 1 가까이 감축했다. 또 ‘항공안전 전산관리시스템’ 투자액은 올해 70억200만원에서 내년 67억5200만원으로,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홍보 투자비용’은 5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줄었다. 제주항공은 보고서에서 “올해, 내년 계획은 실제 집행되는 실적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은 최근 약 5년간(2019~2024년 8월) 법규 위반 등으로 누적 과징금을 가장 많이 낸 것으로도 파악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이 기간 낸 과징금은 37억3800만원으로 10개 국적항공사(대한항공·티웨이·아시아나 등) 중 유일하게 30억원을 넘겼다. 이스타항공(28억6000만원) 티웨이항공(24억3900만원) 대한항공(16억2000만원) 아시아나항공(15억540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국토부는 지난 7월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총 항공안전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자평했다. 국토부는 해당 자료에서 지난해 항공안전투자가 2022년 대비 38.2% 늘었다는 점을 부각했다. 항공안전투자공시제도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점을 고려하면 실적 증가는 당연한 수순이란 지적이다. 항공안전투자공시제도는 항공사가 항공안전 증진을 위해 관련 투자내역을 주기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제도다. 2020년~2022년 시범운영을 거쳐 지난해 7월 처음 도입됐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