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명이 숨진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는 그간 부쩍 증가해온 항공 운항 전반에 대해 재점검해야 할 필요성을 일깨운다. 지난 10, 20년 사이 항공 수요 증가와 때로는 지역 선심성 공약에 따라 전국 곳곳에 공항 건설이 잇따랐다. 또 저비용 항공사(LCC)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비행기 도입도 급증했다. 하지만 이에 맞춰 공항이나 항공기 운항과 관련한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뤄져 왔는지는 의문이다.
무안공항만 하더라도 주변 13㎞ 이내에 철새도래지 4곳이 있어 조류 충돌 위험이 상존한다. 2022년 무안공항 활주로 연장사업 환경영향평가에선 청둥오리 등 새 6종의 항공기 충돌 우려와 관련해 ‘위험수준 3’(신속히 추가적 위험경감 대책 마련 및 수행)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아직 공항엔 조류 탐지 레이더나 열화상 탐지기가 없고, 조류 퇴치 인력도 4명이 교대로 근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안은 활주로도 다른 공항에 비해 짧아 현재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런 위험들은 사전에 경고돼 왔던 것인데, 결과적으로 대비책이 제때에 마련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또 활주로 둔덕 위에 설치된 콘크리트 방위각 시설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있어 시설 위치나 재질이 적절했는지도 점검해봐야 한다.
항공기 정비나 기체 결함 문제, 무리한 운항 스케줄에 문제가 없었는지도 규명돼야 한다.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이 발생했다고 곧바로 엔진과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드물다면서 기체 결함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실제 최근 6년간 국내 15개 공항에서 발생한 조류 충돌 피해가 650여건이었지만 이번과 같은 큰 사고로 이어지진 않았다. 제주항공의 경우 참사 하루 만인 30일에도 사고기와 같은 기종이 김포공항에서 이륙한 직후 역시 랜딩기어 이상으로 회항했는데, 이런 일이 잦았다면 정비 불량이나 항공기 자체 결함과 관련됐을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울러 사고기가 사고 직전 48시간 동안 13차례 운항한 것으로 파악돼 무리하게 운항했는지 여부도 밝혀야 한다.
이런 유형의 활주로 위험 요소나 안전 인력 부족 문제, 정비 미비 및 과도한 운항 우려가 특정 공항이나 항공사에만 국한된 게 아닐 수 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전국 공항 및 항공업계 전반에 대한 신속한 안전 점검과 대비책 마련이 필요한 이유다. 특히 안전에 있어선 적당한 것보다 과한 게 더 낫다는 말이 있는데, 항공 분야는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더더욱 그 기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