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내년부터 일부 LTE 요금제에 대한 신규 가입을 받지 않는다. 올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LTE 요금제가 5G 요금제보다 비싼 요금 역전현상을 해소하라는 지적을 받은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이에 통신사들은 LTE 요금제와 5G 요금제를 합치는 통합요금제를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5G의 속도·품질 개선 없이 LTE 가입자들을 5G로 갈아타도록 유도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줄이려는 꼼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내년 2월부터 36개 요금제의 신규 가입을 받지 않는다는 내용을 최근 고객에게 공지했다. 5G 요금제보다 비싸거나 혜택이 부족한 LTE 요금제가 그 대상이다. 앞서 KT가 지난 3일 통신사 중 가장 먼저 5G 요금제보다 비싼 LTE 요금제 46개에 대한 신규 가입을 중단한 바 있다. 다만 신규 가입이 중단된 요금제로 가입했던 기존 고객은 해당 요금제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도 5G 요금제보다 비싼 LTE 요금제의 신규 가입을 중단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통신사들의 이런 움직임은 지난 9월 국감에서 LTE 요금제가 5G 요금제보다 최대 배 넘게 비싸게 책정된 것과 관련해 요금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조치다. 지난해 통신서비스 품질 평가 결과에 따르면 이통 3사의 평균 LTE 다운로드 속도는 178.93Mbps다. 5G 전송 속도인 939.14Mbps와 비교하면 5분의 1 수준이다. 약 1300만명에 달하는 LTE 요금제 가입자들이 5G보다 속도가 느린 LTE를 사용하면서도 비싼 요금을 내고 있다. 과방위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LTE 요금제를 개편해 이른바 ‘바가지’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통신사들은 국감 이후 LTE 요금제에 대한 신규 가입 중단과 더불어 통합요금제 출시를 대안으로 내놨다. 하지만 통합요금제가 실제 통신비 절감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19일 성명을 내고 신규 요금제를 출시하는 것보다 전체 LTE 요금제 수준을 30% 인하하는 것이 통신비 부담 경감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또 그동안 5G 요금제보다 비싼 LTE 요금제를 사용해온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통신사들이 보상안을 마련할 것도 요구했다.
통합요금제 출시가 통신망 선택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권을 축소한다는 비판도 있다. 모든 국민이 LTE에서 5G로 갈아타면 통신망에 대한 선택권은 5G만 남게 된다는 것이다. 통신사들이 독점 통신망인 5G에 대한 품질 개선 노력을 등한시하고 설비 투자를 줄이게 될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복잡한 설계로 소비자를 헷갈리게 만드는 통합요금제 출시보다 LTE 요금제의 절대적 인하가 통신비 절감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