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9일 무안 제주항공 참사가 발생한 전남 무안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다음 달 4일 24시까지 7일간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정하고 무안공항 현장과 전남 광주 서울 등 17개 시도에 합동 분향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최상목(사진)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이날 오후 8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3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피해 수습과 유가족 지원, 부상자 치료 등 필요한 지원을 다 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지역은 지방자치단체 복구비 일부가 국비로 지원되고, 피해를 본 지역민에게 재난지원금과 국세·지방세 납부 유예, 공공요금 감면 등이 제공된다.
최 권한대행은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책임소재를 밝히고 유족과 국민께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며 “비참한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재발 방지대책 마련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9시3분 제주항공 7C2216편 사고 발생 50여분 뒤인 9시57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을 1차장으로,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을 2차장으로 임명하고 “가용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해 인명 구조에 총력을 다해 달라”고 관계부처에 지시했다.
항공안전 주무 부처인 국토부도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하고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를 가동해 사고 원인 조사에 돌입했다. 소방 490명과 경찰 455명 등 행정·안전 인력 1572명도 투입됐다. 기획재정부도 사고 대응·지원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30일로 예정됐던 2025년도 경제정책방향 발표는 연기했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