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권력 공백에 대형 사고까지… 당장 모든 정쟁 중단하라

입력 2024-12-30 01:10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전남 무안군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무안 항공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화상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29일 무안국제공항 항공기 추락 사고 현장을 찾았다. 오전엔 사고 관련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었다. 평소 같으면 대통령이 현장 방문과 회의 주재에 나서고 최 경제부총리는 경제 컨트롤타워의 중심을 잡는 역할 분담이 가능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잇따라 탄핵소추돼 최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되면서 경제에만 집중하기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더불어민주당은 최 대행이 헌법재판관 3명을 임명해주지 않으면 또 탄핵시키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경제 사령탑마저 정치 공방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경우 한국 경제의 신뢰도는 급격히 추락할 것이다. 초대형 사고까지 발생한 만큼 민주당의 탄핵 시도는 최 대행 앞에서 멈춰야 한다.

최 대행이 경제부총리로서 이끌던 ‘경제관계장관회의’ ‘거시경제금융회의’ 등 주요 경제 대책 회의는 줄줄이 1·2차관의 대행 체제로 전환됐다. 회의 구심점이 사라진 터라 정책 동력이 생길지 미지수다. 최 대행은 대신 지난 주말 낯선 부처별 업무 보고를 받았고 항공기 사고 수습에도 나섰다. 경제 대책에 신경쓸 새가 없는 것이다. 여기에 민감한 정치 사안도 줄줄이 대기 중이다. 최 대행은 당장 내일 국무회의에서 쌍특검법(내란·김건희 여사 특검법) 공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한 전 권한대행의 탄핵소추 요인이었던 헌법재판관 3명 임명, 상설특검 추천 의뢰 문제도 발등의 불이다.

최 대행마저 직무가 정지되면 ‘경제 사령탑’ 공백이란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 환율이 1500원을 넘보고 경제심리가 최악인 와중에 설상가상인 상황을 마주할 수 있다. 계엄 사태 이후 경제팀이 공들인 대외신인도 관리 역시 허사가 될 것이다. 우선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주장대로 정치권은 무안 사고가 완전히 수습될 때까지 최 대행 탄핵 시도 등 모든 정쟁을 중단해야 한다. 동시에 역할도 제한적인 최 대행에게 정치적 결단을 다그치지 말고 속히 여·야·정 협의체를 가동해 지혜를 모으길 바란다. 최 대행은 헌법재판관을 임명하고 여·야는 특검법의 독소 조항 제거, 거부권을 유발하는 포퓰리즘적 입법 중단에 합의하는 게 최선의 방안이다.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놓였음을 정부와 정치권이 직시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