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열린 ‘송년판소리’는 2010년부터 출연해온 안숙선(75) 명창의 마지막 무대였다. 안 명창은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해 200편 넘는 창극과 30회 넘는 판소리 다섯 바탕 완창 무대에 섰으며,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예술감독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는 ‘송년판소리’ 무대를 도맡아 국립창극단과 오랜 인연을 이어왔다.
국립창극단은 이번 ‘송년판소리’를 안 명창의 소릿길 인생을 되새기는 자리로 준비했다. 막이 오르자 꽃분홍색 한복을 입은 안 명창이 홀로그램으로 등장해 ‘춘향가’ 중 ‘쑥대머리’를 불렀다. 안 명창은 국립창극단에서 춘향 역을 워낙 많이 맡아 ‘영원한 춘향’으로 불린다.
이날 공연의 하이라이트는 안 명창의 소릿길을 다양한 사진과 영상으로 살펴본 뒤 모든 제자와 함께 민요를 부르는 엔딩이었다. 안 명창이 국립창극단 중견단원 정미정과 국립민속국악원 국악연주단 예술감독 유수정의 부축을 받으며 무대에 오르자 유은선 감독 등 국립창극단 관계자들이 15년간 송년판소리를 함께한 것에 대한 국립극장의 감사패와 꽃다발을 전달했다. 안 명창이 감회가 남다른 듯 눈시울을 붉히며 “감사합니다” 인사하자 제자들의 상당수가 눈물을 흘렸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