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 산단 속도전… 2026년으로 착공 앞당긴다

입력 2024-12-26 19:16
연합뉴스

세계 최대 반도체 산업단지인 용인 국가산단의 계획 승인 절차가 목표보다 3개월 일찍 완료됐다. 정부는 내년 시작하는 보상 작업에도 속도를 내 이전 계획 대비 3년 이상 착공 시기를 앞당길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26일 경기도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용인시·한국토지주택공사(LH)·삼성전자와 사업시행자·입주기업 간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용인 국가산단 특화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용인 국가산단은 처인구 남사·이동읍 일대 728만㎡(약 220만평) 부지에 대규모 팹(반도체 제조공장) 6기와 발전소 3기를 세우고 소재·부품·장비 협력기업 60곳 이상을 유치하는 대형 국가전략사업이다. 정부는 최대 360조원에 이르는 민간 투자로 160만명 수준의 고용과 400조원 이상의 생산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산단 조성의 핵심을 ‘속도전’으로 보고 절차를 최대한 단축하는 중이다. 내년 3월이 목표였던 산단 계획 승인은 3개월 이른 이날 마무리했다. 통상 4년 이상이 소요되는 산단 지정 절차는 1년 9개월 만에 완료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정부는) ‘시간이 보조금’이라는 인식으로 행정절차를 대폭 단축했다”고 강조했다.

착공까지 최대 관문인 ‘보상 절차’에도 속도를 낸다. 원주민 보상책으로 산단 남서쪽에 37만㎡(270가구) 규모의 이주자 택지를 조성하고, 이를 공급받지 못하는 임차 가구에는 인근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한다. 주민들의 생계 유지를 위해 LH 발주 사업에 대한 주민단체 사업 위탁을 활성화하고, 산단 내 입주 기업에는 주민 고용을 추천한다. 이주기업을 위해서는 북서쪽에 50만㎡ 규모의 전용 산단을 구축한다. 정부는 보상 절차까지 단축하면 착공 시기를 이전에 계획한 2030년 6월보다 3년 6개월 빠른 2026년 12월까지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발표된 조성계획에는 산단 조성으로 늘어날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국도 45호선 이설·확장사업 등 인프라 조기 확충안도 담겼다.

세종=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