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의 열매] 최경주 (19) 20통 전화 끝에 연습생 신분… 또래 프로 만나기도

입력 2024-12-27 03:08 수정 2024-12-29 14:48
최경주 장로가 2018년 경남 김해 정산CC에서 열린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 2라운드 15번홀에서 트러블샷을 하고 있다. KPGA 제공

“혹시 연습생 필요하지 않습니까.” “필요 없습니다.”

한 통, 두 통, 세 통…. 20통이나 전화를 걸었지만 같은 대답만 돌아왔다. 이제 남은 건 달랑 100원뿐이었다. 다시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남은 건 20원. 수화기를 든 손이 떨렸다. 같은 질문을 건넸다. “혹시 연습생이 필요하십니까.” “글쎄요, 한번 와 보시든지.”

곧바로 가방 하나만 챙겨서 서울 장안동에 있는 대원골프연습장으로 달려갔다. 가는 동안에 내 자리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 들떠 있었다. 하지만 막상 가서 보니 그곳에도 내 자리는 없었다. “일주일만 저를 써 보십시오. 월급은 안 주셔도 됩니다. 일주일 동안 제가 일하는 걸 보고 나서 결정해 주십시오. 그때 가서 나가라고 하시면 나가겠습니다.”

다행히 박찬영 사장님은 기회를 주셨고 나는 그곳에서 일할 수 있게 됐다. 거기서 연습생으로 있던 또래 프로를 만났다. 고향이 그립던 차에 전주 출신 동년배를 만나니 기뻤다.

손발이 꽁꽁 얼 만큼 추웠던 겨울밤, 난로에 넣을 땔감을 줍기 위해 손수레를 끌고 시장 바닥을 누비고 다녔다. 또 연습장 창고 뒤편에서 토막잠을 자야 했지만 혼자가 아니어서 든든했다.

“최 프로, 다음 주 일요일에 시간 있나. 코스에 한번 나갑시다.”

장안동 시절 아직 연습생이었던 나를 ‘프로’라고 불러 주던 분들이 가끔 필드에 데려가 주셨다. 연습생 처지에 비싼 그린피를 감당하기가 어려웠으니 이분들의 제안은 정말로 가뭄에 단비 같았다. 아직 프로 골퍼도 아닌 나에게 필드 라운드를 제안해 주신 것이 감사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왜 저를 코스에 데려가십니까.” “흠, 그건 자네가 대걸레질을 아주 잘하기 때문이야.” 예상치 못한 대답이었다. 장안동 시절에도 나는 오랜 습관처럼 아침 6시에 문을 여는 연습장보다 한 시간 이른 새벽 5시에 나가 바닥의 고무매트를 대걸레로 깨끗하게 닦아 두곤 했다. 첫 손님이 연습장에 들어섰을 때 상쾌한 기분이 들었으면 하는 바람이었다. ‘내가 손님이라면 조금이라도 더 깨끗한 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에 시작한 일이었다. 성격상 한번 시작한 일은 끝을 봐야 했다.

이런 모습이 손님들이 보기에는 대견했던 모양이다. 굳이 하지 않아도 될 걸레질을 성실히 하는 모습을 보면서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저절로 생기더라는 분들이 많았다. 주어진 환경이 어떻든지 간에 최선을 다하면 좋은 열매를 맺는다는 것을 다시금 배웠다.

정리=유경진 기자 yk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