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12·3 비상계엄 당시 동원됐던 정보사령부 요원들이 여전히 무장한 채 외부 활동 중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냈다. 국방부는 25일 “비상계엄에 소집됐던 모든 정보사 인원들은 12월 4일 오전 소속 부대로 전원 복귀했다”며 “정보사에서 전날 예하 부대를 대상으로 인원과 무기 현황을 정밀 재점검한 결과 이상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정보사에는 민간인 ‘블랙요원’이 없다”며 “정보사는 지난 4일부터 모든 교육훈련을 부내 내 또는 부대 인근으로 조정해 시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상계엄 전후 정보사 요원들의 행적은 여전히 완전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다. 특히 북파공작원으로도 불리며 요인 납치와 암살 등을 훈련받는 특수임무대(HID) 요원도 계엄 당시 소집됐는데, 이들이 정확히 어떤 임무를 받았는지 등은 전모가 밝혀지지 않았다. HID를 비롯한 정보사의 업무 자체가 기밀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이들이 모두 부대로 복귀한 게 맞는지에 대해서도 여전히 의심의 눈초리가 있다.
한 군 소식통은 통화에서 “준비 정황으로 봤을 때 북한군으로 위장해 소요를 일으키려 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드론작전사령부는 지난 8일 예하 부대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당시 컨테이너에 전단통은 없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드론작전사령부는 “당시 컨테이너에는 드론 발사대 등 드론 관련 부수기자재들이 보관돼 있었고 전단통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런 해명은 한 매체가 8일 화재 당시 평양 상공의 무인기에서 떨어졌다고 북한이 주장하는 전단통과 같은 물품이 컨테이너 안에 있었다고 보도한 데 따른 것이다. 보도가 사실이라면 지난 10월 평양 상공에 침투한 무인기가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기 위한 우리 군의 책략이었다는 일각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3주가 지났지만 군 수뇌부 다수가 계엄 및 내란 모의 의혹 등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이어지면서 군에 대한 의심도 걷히지 않고 있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주도의 사조직 ‘수사2단’에 관여한 구삼회 육군 2기갑여단장, 방정환 국방부 정책실 차장 등에 대한 국방부 조치가 미흡하다는 것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수사와 연계해 검토하고 있다”며 “아직 수사기관으로부터 정식 통보를 받은 게 없다”고 해명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