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서울시는 유치의 필수 요소인 경제적 타당성과 시민의 찬성 여론을 모두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전북도는 국가균형발전을 유도하고, K컬처를 세계에 널리 홍보하기 위해서라도 올림픽 유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계올림픽 국내 개최 후보 도시는 내년 2월 대한체육회에서 결정된다.
서울시는 지난 5~11월 한국스포츠과학원이 2036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결과, 편익/비용 비율(B/C)이 1.03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B/C 비율이 1 이상이면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간주된다.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 따르면 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정하는 전문기관(한국스포츠과학원 등)에 사전타당성 조사를 의뢰하고 이 결과를 문체부 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이번 조사에서 2036 서울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비용은 5조833억원, 총편익은 4조4707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를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비용은 3조358억원, 편익은 3조1284억원이다. 편익을 비용으로 나눠 B/C 1.03이 도출된 것이다.
총비용으로 추산된 5조833억원은 2000년 이후 열린 다른 올림픽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비용이다. 2012년 런던 16조6000억원, 2016년 리우 18조2000억원, 2020년 도쿄 14조8000억원, 지난해 파리 12조3000억원 등 최근 12년 열린 올림픽 모두 개최 비용이 10조원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서울시는 지난 7~8월 2036 서울올림픽 유치 사전타당성 조사의 일환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사에 응한 시민 85.2%(전국 81.7%)가 올림픽 유치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지난달 12일 대한체육회에 2036 하계올림픽 유치 신청서를 제출했다. 서울과 공동 개최를 추진했으나 결렬되자 단독 개최로 방향을 틀었다.
전북도는 올림픽 유치가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올림픽 유치를 통해 전북의 전통과 문화유산을 홍보할 수 있으며 전북이 세계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맞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 대회를 개최한 경험 등 국제스포츠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할 역량이 충분하다는 점도 내세웠다. 전북도는 “광주·충남 등 인접 도시와 경기장 시설에 대한 사용 협의를 마쳐 대회 유치시 신설해야 하는 경기장은 4곳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문동성 기자, 전주=김용권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