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호주는 지난 20일 기후·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녹색경제동반자협약(Green Economy Partnership Arrangement·그린 EPA)을 체결했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직면한 한국과 호주의 새로운 협력 모델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정표다. 특히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분야에서 양국의 실질적인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이번 협약은 우리 정부의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외교 노력의 결실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5월 발표한 CCS 산업육성전략에서 해외 저장소 보유국과 국경통과 CCS 추진 시 2단계 협약 추진, 즉 CCS 협력 증진을 위한 협약 체결 후 이산화탄소의 국경 간 이동 협약을 체결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협약은 한국과 호주 간 1단계 협약으로서 기능하며, 이로써 호주는 아랍에미리트(UAE)와 말레이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한국과 1단계 협약을 맺은 국가가 됐다. CCS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저장소가 부족한 우리나라에 있어 국경을 넘어 협력 가능한 국가의 확보는 중요한 과제다.
호주는 한국과 인접하면서도 이산화탄소 저장에 필요한 고갈 유가스전 및 대염수층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국경 이동을 가능케 하는 2009년 런던의정서 개정안과 관련해 국제적 절차를 완료한 국가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호주와의 협력은 탄소중립 이행에 있어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한국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이라는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협력 대상국과 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국경통과 CCS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저장소가 풍부하면서도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넓혀나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국경을 넘어선 CCS 인프라 구축의 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비즈니스와 기술 협력의 폭을 넓히게 된다면 2030 NDC 목표 달성과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성취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한·호 그린 EPA 체결은 한국이 CCS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을 선도적으로 추진해나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준 중요한 계기다. 이를 계기로 양국이 2단계 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논의에 착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사업 추진도 앞으로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CCUS) 분야에서 민·관 협력의 구심점이자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CCUS추진단 역시 이러한 협력을 더욱 활성화하고, 탄소중립과 경제적 발전이라는 우리 모두의 미래 비전을 성취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이호섭 한국CCUS추진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