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정치인 체포조·구금 의혹’ 수사도 속도 낸다

입력 2024-12-24 19:17
'12·3 비상계엄' 기획에 관여한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24일 오전 서울 은평구 서울서부경찰서에서 검찰로 송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은 계엄 당시 유력 정치인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직원 등에 대한 ‘체포조 운영’과 ‘구금 준비’가 있었다는 의혹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4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전날 백철기 수도군단 군사경찰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특수본은 국군방첩사령부가 계엄 당일 수도군단에 ‘부대 내 구금시설을 비우고, 미결수용수들을 이감해 달라’고 요청했는지 등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은 앞서 국회에서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관할 B1 벙커에 체포자 구금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정치권 등에선 수방사 내 B1 벙커뿐 아니라 수도군단 등 다른 부대 시설도 구금 장소로 검토됐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특수본은 체포 명단과 구금시설 준비 등이 어떤 지시 계통을 통해 내려온 것인지 살펴보고 있다. 특수본은 지난 13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에 ‘계엄 당시 여 사령관이 김 단장에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주요 인사 14명을 체포해 수방사 시설로 이송하라고 지시했다’고 적시했다. 여 전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이 명단이 평소 윤석열 대통령이 문제가 있다고 얘기했던 사람이라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수본은 북파공작부대(HID) 대원 등이 체포조로 동원됐다는 의혹도 확인하기 위해 지난 19일과 20일 경기도 안양에 있는 정보사령부에서 출장 조사를 진행했다. 특수본은 계엄 당시 현장에 출동한 정보사 대원들을 상대로 중앙선관위에 누구 지시로 투입됐는지, 직원들을 체포하려 했던 것인지 등을 조사했다. 정보사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 산하 부대인 HID 대원 등을 동원해 선관위 직원들을 체포·납치하려 했다는 의혹 등을 받는다. 이런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지목된 문상호 정보사령관과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은 현재 구속 수사를 받고 있다.

여 전 사령관은 특수본 조사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선관위 서버 확보를 지시하면서 노 전 사령관에게 연락하라고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