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격차를 줄이는 ‘오세훈표’ 복지정책 ‘서울런’이 충북에 도입된다. 이번 정책 공유는 성적 향상과 사교육비 경감 등에 성과가 확인된 서울런을 전국으로 확산하는 첫 번째 사례다. 시는 앞으로 희망하는 지역이 있다면 정책 노하우와 플랫폼 공유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와 충북도는 23일 서울시청에서 ‘우수 정책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 자리에서 “서울런이 계층 간 교육 격차 해소를 넘어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서게 된다”며 “충북 학생들이 서울런을 통해 새로운 꿈을 꾸고 더 큰 세상에 도전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런은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취약계층 학생에게 무료로 온라인 교육콘텐츠 등을 공급하는 오 시장의 ‘약자와의 동행’ 대표 정책이다.
이에 따라 충북도 내 인구 감소 지역 6개 시·군(제천·보은·옥천·영동·괴산·단양)에 거주하는 청소년 1200여명이 이르면 내년 3월부터 서울런을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서울런으로 공부할 수 있는 홈페이지 제작을 돕고, 충북 출신 인재를 멘토(교사)로 한 멘토링(상담)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충북도는 서울런을 통해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연구원이 지난해 4~10월 서울런을 이용하는 중고생 635명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서울런을 이용한 뒤 학교 성적이 뚜렷하게 향상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학교 성적 ‘상’의 비율이 서울런 이용 전과 비교해 21.1% 포인트 상승한 36.1%로 집계된 것이다. 특히 충북도의 인구 유출 원인 중 하나로 ‘교육 환경 격차’가 꼽히는데, 도는 서울런을 통해 학생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27일 강원도 평창군과도 서울런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충북도의 대표적 의료 복지제도인 ‘의료비 후불제’를 벤치마킹하기로 했다. 지난해 1월 시작한 의료비 후불제는 김영환 충북지사의 대표 공약 사업이다. 목돈 부담으로 병원비를 한 번에 내기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최대 300만원까지 무이자 대출을 지원하고 36개월 동안 분할 상환받는 방식이다. 대상 질환은 임플란트, 인공관절, 심혈관, 산부인과 등 14개다.
두 지자체는 서울시의 의료 환경, 인구 구조 등을 반영한 ‘서울형 의료비 후불제’를 함께 설계해 내년 하반기 중 시범사업을 하기로 했다.
김용헌 기자, 청주=홍성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