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급감에도 몸값 부풀려 IPO… 경영진은 매매차익

입력 2024-12-23 00:18

‘공모가 뻥튀기’ 논란이 있던 반도체 설계기업 ‘파두’와 상장 주관사 NH투자증권 관계자들이 검찰에 넘겨졌다. 이들은 파두의 매출이 급감할 것을 알면서도 공모가를 부풀려 기업공개(IPO)에 나섰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금감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은 22일 파두와 주관증권사 NH투자증권 관련자를 지난 20일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파두는 지난해 8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며 1조5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하지만 상장 후 발표한 분기 실적은 연간 예상 매출액 1203억원을 감안할 때 크게 저조했다. 2·3분기 매출이 각각 5900만원, 3억2000만원에 그친 것이다. 실적 발표 후 파두 주가는 3일간 45% 급락했다.

금감원 특사경은 파두 경영진이 무리하게 기업가치를 부풀려 상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주요 거래처의 발주 감소 및 중단으로 매출 급감이 예상되는 상황인데도 이를 숨겼다는 설명이다. 또 파두 경영진들은 상장예비심사 신청 직전인 지난해 2월 매출 감소 요인 등을 숨기고 프리IPO(사전 자금조달)로 투자 유치를 하며 보유 주식 일부를 매도해 투자 이익을 얻은 것으로 확인됐다.

NH투자증권 관련자는 파두가 상장예비심사 시 기재한 예상 매출액보다 더 큰 금액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고, 이를 근거로 공모가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공모한 혐의를 받고 있다.

금감원은 “(이 사건은) 상장을 준비하거나 상장 절차를 준비하는 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기업들이 제시하는 향후 예상 매출 전망 등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신을 일으켰다”고 지적했다. 파두 측은 “남은 절차도 최선을 다해 충분히 소명하겠다”며 “회사 매출 정상화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파두 사건을 계기로 IPO 관련 공시·회계 제도 개선에 나섰다. 먼저 주관증권사의 실사 의무를 강화하고 공모가 산정 합리화 등을 추진했다. 공모가 산정을 위한 재무추정치 산출근거도 상세히 공시하도록 했다. 또 상장예정기업 중 1조원 이상인 기업은 전수 심사하는 등 회계심사를 강화했다.

김준희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