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소추단 “내년 2월 결론날 것… 지연전략, 尹에 불리”

입력 2024-12-22 18:50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과 반대를 각각 주장하는 대규모 집회가 지난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대에서 동시에 열린 모습. 왼쪽 사진은 경복궁 동십자각 인근에서 열린 탄핵 찬성 집회. 오른쪽은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이 참여하는 국회 탄핵소추단이 ‘내년 2월’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종결의 1차 목표 시점으로 제시했다. 탄핵소추단은 서류 송달 거부를 비롯한 ‘지연 전략’이 파면 여부 결정 시 윤 대통령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고 탄핵 당위성 부각에 전력한다는 계획이다.

소추단 감사 겸 대변인인 최기상 민주당 의원은 22일 통화에서 “계엄군의 국회 진입 생중계 영상과 관련자 증언, 수사 기록 등 탄핵심판에 필요한 증거는 이미 충분하다”며 “이것만으로도 재판 결론을 언제든지 낼 수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 측이 현재와 같은 지연 전략을 써도 헌법재판소가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커 내년 2월 말, 늦어도 3월 안에 매듭지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추단은 오는 27일 탄핵심판 사건 첫 변론준비기일을 거쳐 내년 1월 중순에는 본심리가 시작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변론이 주 2회 이상 속도감 있게 진행되면 ‘2월 결론’ 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윤 대통령 측이 탄핵심판 관련 서류 수령을 계속 거부하거나 대리인 선임을 늦추면 헌재가 이에 대한 책임도 엄히 물을 것이라는 게 소추단 관측이다. 현재 공석인 국회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과 기존 6명의 재판관 모두 법관 시절 각종 재판 지연책을 겪어본 터라 윤 대통령에게 불리한 요소로 감안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소추단은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의 임명에도 법적, 절차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헌법상 임명보다 국회의 ‘선출’에 방점이 찍힌 만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임명권 행사는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민주당은 23~24일 인사청문회를 거쳐 이르면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임명동의안이 처리되면 한 권한대행이 지체 없이 임명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대통령 탄핵심판도 현재의 ‘6인 재판관 체제’로 변론과 심리가 가능하다. 소추단 관계자는 “6명 전원 일치가 되면 선고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앞서 헌재 역시 6인 체제로 탄핵심판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완전한 9인 체제로 심판이 이뤄져야 절차적 정당성 시비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고 소추단은 본다.

소추단은 지난 20일 법률대리인단과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심리 준비에 착수했다. 위원장인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등 민주당 의원 9명과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으로 구성됐다. 대리인단은 김이수 전 헌법재판관 등 17명으로 꾸려졌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