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정부와 여야로 구성하는 국정안정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했다. 국회의장이 추진하는 ‘국회의원 파견단’에도 참가할 예정이다. ‘여당이 내분에 휘말려 민생을 내팽개쳤다’는 야당의 프레임을 정면 돌파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야당은 ‘김건희 특검법’ 수용과 헌법재판관 임명 여부를 ‘한덕수 탄핵’ 레드라인으로 설정하는 등 대여 압박 수위를 높였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20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생과 안보 협의를 위한 여야정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했다. 멤버 구성과 관련해서는 지금 국회의장과 논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당초 국민의힘은 국정 주도권을 뺏길 수 있다는 이유로 국정안정협의체 참여를 거부했다. 하지만 한 권한대행이 여야정협의체 필요성을 강조하고, 야당의 거센 비판이 이어지자 한발 물러섰다.
이어 권 권한대행은 “국회의장이 추진하는 국회의원 파견단에도 참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대외 신인도 제고를 위해 초당적인 국회의원 특사단 파견을 준비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여 공세의 고삐를 조였다. ‘김건희 특검법’과 ‘내란 특검법’ 수용, 헌법재판관 임명 등을 거부하는 즉시 탄핵 추진에 돌입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 입법권을 무시하는 행태가 한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반복되고 있다”며 “민의에 따라 특검법을 신속히 공포하라”라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는다면) 내란 동조가 아니라 그 자체로 내란 행위”라고 덧붙였다. 한 권한대행이 상설특검 추천 의뢰를 유보 중인 걸 두고도 “사실상 거부하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노종면 원내대변인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권한대행은 특검법에 대해 시간을 최대한 끌겠다는 건데 민주당은 12월 31일까지 기다리지 않는다는 기조”라며 “선제적 탄핵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했다. 노 원내대변인은 “1단계로 내란 상설특검 임명을 위해 일정 기간을 정해 추천을 요구할 것”이라며 “그게 조기 탄핵 여부의 중요한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다음 주부터 당 차원의 비상 행동을 재개하며 정권을 향한 총공세에 나설 계획이다. 또 명태균씨 국정개입 의혹 등과 관련해 윤 대통령·김건희 여사를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위반과 형법상 업무방해·사전수뢰 및 뇌물공여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