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탱크로 밀어버려라 발언… 가담 현직들 증거인멸 우려”

입력 2024-12-19 18:55
박찬대(오른쪽 두 번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쟁점법안 재의요구권 행사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당일 오찬 자리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탱크로 밀어버리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주장을 내놨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사태에 연루된 핵심 직위자들이 여전히 현직을 지켜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며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민주당 ‘윤석열 내란 진상조사단’은 19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김 전 장관은 지난 3일 오전 11시40분 국방컨벤션센터 오찬에서 ‘국회가 국방예산으로 장난질인데, 탱크로 확 밀어버려’란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제보가 들어왔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오찬에 참석한 국방부 정책차장 방정환 준장이 당일 오후 휴가를 내고 정보사 판교사무실로 이동했다”며 “방 준장은 물론 휴가를 승인한 조창래 국방부 정책실장에 대한 조사도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조사단은 이와 함께 “3일 새벽 김 전 장관을 관저에서 만난 사람이 있다. 양모씨라는 민간인”이라며 양씨에 대한 수사 필요성을 주장했다.

조사단은 또 비상계엄 전후에 있었던 회의·만찬 등에 참여한 고위직 인사들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조사단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방 준장 등과 함께 3일 오후 6시쯤 정보사 판교사무실에 모인 구삼회 제2기갑여단장이 1군단장 허가를 받았는지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같은 날 오후 7시부터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박안수 당시 육군참모총장 등이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주재 만찬의 실체 규명을 위해 박종준 경호처장을 소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조사단은 계엄사령부 전투통제실에서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육군본부에서 서울로 이동한 34명의 지휘관에게 어떤 임무가 부여됐는지 등 관련자를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사단은 “군 고위 현역 직위자들이 대규모로 (계엄 사태에) 개입돼 있다는 점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당리당략을 떠나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12월 3일 국방부 행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백승아 민주당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비상계엄 당시 특전사령부는 계엄군에 1139명을 투입했다. 수방사는 211명(사병 61명), 정보사령부에선 30명이 동원됐다. 계엄군에 반출된 실탄은 확인된 수량만 9000발이 넘는다. 특전사 707특임대는 보통탄(실탄) 3960발·공포탄 1980발, 수방사는 실탄 5048발·공포탄 2939발을 반출했다. 계엄군은 당시 저격용 총과 K1 기관단총 등도 휴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환 이택현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