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극복에 팔 걷은 TK… 난임치료, 비혼·입양 TF 가동

입력 2024-12-18 18:26
국민일보DB

대구·경북이 저출생 극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 마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저출생 등으로 인한 인구 감소가 지방자치단체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경북도는 최근 비혼·입양 정책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저출생과전쟁본부, 경북연구원(입양 집중연구), 경북여성정책개발원(비혼 집중연구), 관련 전문가 그룹(정책 제안·자문) 등을 중심으로 TF를 꾸렸다. 비혼·입양 정책 대응 첫 회의도 18일 경북도청에서 개최했다.

TF는 비혼 출생아 등 혼인외 가정 지원, 국내로의 국제 입양 활성화 등 확장적 가족관계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비혼 가정 지원 정책과 인식 전환 대책 연구, 비혼 출생아 가정 지원 조례 제정, 가칭 동반가정등록제 시행 등을 통해 비혼 출생아를 지원할 계획이다. 비혼·입양가정을 방문해 현실적인 어려움 등을 듣고 국내외 비혼·입양 전문가들을 모아 세미나도 개최할 예정이다.

국내로의 국제 입양 활성화 방안 연구, 입양가정 지원 방안 마련 등의 입양 활성화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경북도는 지난 2023년 입양가정 지원 조례를 마련했으며 국제 입양가정 지원금 현실화, 입양 절차에 필요한 비용 지급, 입양 자녀 교육·적응 지원 등도 검토하고 있다.

대구시는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해 내년 상반기 대구의료원 통합난임치료센터 개소를 추진 중이다.

지역 대표 공공의료기관인 대구의료원이 난임부부들을 위한 전문 진료와 맞춤형 치료를 제공해 의료취약계층의 난임시술 접근성을 높일 방침이다. 대구의료원은 약 1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생명존중센터 4층에 진료실, 난자채취실, 배아배양실, 배아이식실, 정액채취실, 상담실 등 필요한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초음파기기, 정액검사장비 등 10종 22점의 최신 의료장비를 도입해 양질의 난임 치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통합난임치료센터 추진을 위해 난임 분야에서 풍부한 임상경험을 보유한 난임 전문의 초빙을 완료했다. 향후 추진 일정에 맞춰 전문 간호사, 배아생성 담당인력 등 운영인력을 보강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지난 2023년 난임부부 지원 소득기준을 폐지해 지역 내 모든 난임 부부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올해부터는 난임 시술비 급여 부분 본인부담금 100% 지원, 유산방지·착상유도 비급여 주사제 비용 추가 지원 등을 통해 시술 1회당 지원금을 전국 최고 수준인 170만원까지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