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장 보내고 홈피 마비… 시민들 관심, 헌재로 향한다

입력 2024-12-17 04:00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을 위한 첫 회의가 열리는 16일 서울 중구 헌법재판소에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윤웅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뒤 시민들의 관심이 헌법재판소로 쏠리고 있다. 대통령 탄핵 찬반을 주장하는 시민단체들이 집회 장소를 서울 여의도와 광화문에서 종로구 헌재 근처로 속속 옮기고 있다. 온라인에선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심리를 맡는 헌법재판관들에게 연하장을 보내자는 캠페인까지 등장했다.

16일 SNS에는 헌법재판관들에게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내용의 연하장을 보내자는 글이 급속도로 퍼졌다. 온라인상에는 헌재가 있는 종로구 주소와 함께 재판관들 이름, 약력 등이 공유되고 있다. 헌재에 연하장을 보낸 인증 사진을 올리면 선물을 주겠다는 글도 올라오고 있다.

헌재에 연하장을 보내는 것은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때에도 캠페인처럼 진행됐다. 당시 시민들은 박한철 전 헌재소장과 재판관들에게 ‘박 전 대통령 탄핵을 인용해 달라’는 내용의 연하장을 1만통가량 전달했다.

헌재 홈페이지를 찾는 시민도 늘고 있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헌재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윤 대통령 탄핵에 관한 글이 약 4만8000건 올라왔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뒤 방문자가 폭증하면서 접속 지연 사태까지 빚어졌다.

장모씨는 “대한민국 역사상 이렇게 많은 위헌을 저지른 대통령은 없었다. 헌재의 빠르고 적합한 판결을 기다린다”며 탄핵 인용을 호소했다. 반면 신모씨는 “계엄은 고도의 통치행위다. 더불어민주당의 국정 운영 마비가 바로 내란이자 입법 독재”라고 주장했다.

헌재를 찾는 시민도 늘어날 전망이다. 진보 성향 시민단체인 ‘촛불행동’은 이날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윤석열 체포 김건희 구속 촛불문화제’를 연 뒤 헌재까지 행진했다. 집회에 참여한 시민 3000여명(주최 측 추산)은 헌재 앞에서 응원봉을 흔들며 “윤석열을 파면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보수단체는 맞불 집회를 열었다.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는 오후 2시 3000여명(주최 측 추산)이 광화문과 헌재 인근 등에서 탄핵 무효 집회를 열었다고 했다. 헌재 앞에는 대통령 탄핵 찬반을 주장하는 화환과 조화가 경쟁적으로 들어섰다.

탄핵 찬반 양측의 출동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경찰도 긴장하고 있다. 경찰은 헌재 정문에 질서유지선을 설치해 놨다.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보수와 진보단체가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 집회 등을 할 수 있도록 장소를 분리했다”고 말했다.

김승연 윤예솔 최원준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