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 간이 딱딱하게 굳어 시한부 삶을 살던 생후 9개월의 아기가 아버지의 간 4분의 1을 이식받고 건강을 회복해 서른 살의 어엿한 사회인이 됐다. 주인공은 국내 첫 생체 간 이식을 받은 이지원(여)씨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씨는 1994년 12월 8일 아버지로부터 간 일부를 이식받고 기적같이 건강을 되찾았다. 당시 이씨는 선천성 담도 폐쇄증에 따른 간경화로 첫 돌이 되기도 전에 죽음 앞에 놓였었다.
살아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옮겨 심는 생체 간 이식은 뇌사자 간 이식보다 수술이 매우 까다롭다. 또 합병증 위험이 커서 높은 생존율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 병원 이승규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는 당시 일본에서 해당 기술을 처음 도입하고 동물실험과 수십 번의 모의 수술을 거치며 첫 이식 대상을 기다리던 참이었다. 그리고 태어나자마자 선천성 질환으로 생사를 넘나들던 어린 이씨에게 새 희망의 기회가 찾아왔다.
이 교수는 오직 아기를 살리겠다는 마음만으로 생체 간 이식에 도전했고 부모는 의료진의 용기와 열정에 부응해 딸에게 간을 내줬다. 모두의 간절한 노력으로 생명을 얻은 아기는 건강하게 자라 올해 서른 살을 맞았다. 이씨는 현재 보험 관련 직장에 다니고 있다.
이씨의 생체 간 이식 성공 이후 아산병원은 지금까지 7392명(성인 7032명, 소아 360명)에게 같은 방식으로 새 삶을 선사해 왔다. 국내를 넘어 세계 최다 기록이다. 아산병원은 간 이식의 85%를 생체 이식으로 시행해왔다. 최근 10년간 시행된 소아 생체 간 이식 생존율은 거의 100%에 육박한다.
이승규 교수는 16일 “생후 9개월 아기를 살린 첫 생체 간 이식은 우리의 간 이식 여정에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됐고 이를 계기로 7000명 넘는 말기 간질환자들에게 새 생명을 선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30년간 이씨의 영양 관리와 사회 복귀를 도와 온 주치의 김경모 소아소화기영양과 교수는 “이식 환자들의 성공적인 삶은 이식을 받은 아이들과 가족에게 큰 희망을 주는 귀중한 증거”라고 강조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