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검찰 “방첩사 ‘선관위팀·국회팀’ 2개로 분류돼 출동” 진술 확보

입력 2024-12-16 04:04 수정 2024-12-16 04:04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검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군방첩사령부가 여인형 방첩사령관 지시로 선거관리위원회팀과 국회의사당팀 2개의 출동팀으로 분류돼 행동을 개시했다는 군 관계자 진술을 확보했다.

15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최근 방첩사 관계자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며 여 전 사령관이 방첩사 명령계통을 통해 지시한 사항과 방첩사 부대 움직임을 분 단위로 재구성했다. 검찰은 비상계엄 선포 뒤 곧바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주재 전군 주요지휘관회의가 열렸고, 여 사령관이 선관위팀 책임자로 정성우 방첩사 1처장, 국회팀 책임자로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을 각각 지목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여 사령관은 계엄 당시 과천 선관위 청사와 국회에 방첩사 요원들을 보내고 선관위 서버 확보와 여야 대표 등 주요 인사의 체포를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정 처장과 김 단장은 여 사령관 지시 뒤 몇몇 대령급 장교를 현장 조장으로 지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장들은 요원들을 정해 각각 과천 중앙선관위 청사와 국회로 출동했다. 정 처장은 선관위 투입 인원을 4개 팀으로 구성하면서 향후 법적 문제 등을 우려해 과학수사센터 수사관을 고루 편성하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당시 정 처장과 김 단장은 서로 팀별 지시를 전혀 몰랐을 정도로 2개 팀은 분리돼 움직였다. 여 사령관은 선관위 서버 확보와 관련해 부정선거 의혹 확인 차원이라는 말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 특수본은 최근 군 관계자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시 없이는 벌어질 수 없었던 일”이라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선관위팀 지휘를 맡았던 정 처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 사령관 지시는) 압수수색영장 없이 서버를 털어오라는 것이라 위법하다고 판단했다”며 “상황을 알아볼 테니 현장 팀장들에게는 내부에 들어가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곧바로 선관위 서버를 탈취했다면 역사에 남는 끔찍한 사건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처장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현장 요원들에게 비무장 상태로 출동할 것을 지시했다고 한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