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호주·동티모르 ‘CCS 국제 협력’ 빛 볼까

입력 2024-12-16 01:22

한국에도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국내 CCS 발전을 촉진하고 호주처럼 먼저 CCS를 상용화한 국가의 저장 역량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정부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4월 발표한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서 탄소포집 및 저장·활용(CCUS) 기술을 주요 탄소중립 수단 중 하나로 설정했다. 또 2030년까지 이를 활용해 연간 탄소배출량을 1120만t 감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1년 제시한 목표치(1030만t)에 비해 90만t 늘었다.

하지만 목표치에 비해 국내 저장 역량이 매우 부족하다. 현재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CCS 사업은 민·관 합작으로 추진 중인 ‘동해 가스전 활용 CCS 실증 사업’이다. 울산과 부산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허브 터미널에서 압축한 뒤 해저 파이프를 통해 고갈된 동해 가스전에 저장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이 사업조차 2030년 목표 저장량이 연간 120만t으로 전체 목표치에는 한참 미치지 못한다.

이는 육상에 대규모 저장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한국의 지리적 여건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대안으로 해외 저장 공간 확보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해상 운송 거리가 짧은 동남아와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최적의 파트너로 꼽힌다.

한국과 호주가 협력하고 있는 ‘동티모르 바유운단 CCS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SK 이노베이션 E&S와 산토스는 공동 개발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포집한 탄소를 동티모르 해상의 바유운단 고갈 가스전에 저장하는 저탄소 LNG 사업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다만 이 같은 국경 통과 CCS 사업이 빛을 보려면 외교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런던협약상 폐기물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를 수출·수입하려면 해당 국가가 런던의정서에 의거해 협약·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김일영 SK이노베이션 E&S 호주법인장은 “민간의 투자가 이뤄지려면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지원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뭄바=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