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협의체 구성”… ‘안정’ 무게 두고 전면 나선 李

입력 2024-12-15 18:55 수정 2024-12-15 23:57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그간 윤 대통령 퇴진 촉구 대열 선두에 서 왔다면 탄핵안 가결로 정국 주도권을 쥔 이후에는 국정 정상화를 이끄는 모습을 보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는 이 대표에게 대권 주자로서의 시험대이자 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여당 행세를 한다”며 협의체 제안을 바로 거부했다.

이 대표는 탄핵안 가결 18시간 만인 이날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 정상화를 위한 초당적 협력체, 국회와 정부가 함께하는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모든 정당과 함께 국정 안정과 국제 신뢰 회복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이며, 국회와 정부가 대한민국 전반에 불어닥친 위기를 조속히 매듭지을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2016년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안 가결 하루 뒤 대권 주자였던 문재인 당시 민주당 대표가 “국가 대청소가 필요하다”며 과거 청산을 천명했던 것과 다른 기류다. 170석 제1당 대표로서 ‘안정’에 무게를 두며 수권 능력을 내보이겠다는 의중으로 읽힌다.

이 대표는 “대통령 직무가 정지됐기 때문에 당연히 국회가 전면에서 대한민국의 국정을 조정해나가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도 이제 여당이 아니다. (정상화에) 협조하지 않으면 정당으로서 존재 이유가 없다”며 협의체 참여를 압박했다.

이 대표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도 언급했다. 그는 “지금 당장 해결해야 하는 것은 정부 재정 역할 축소에 따른 소비 침체”라며 “추경을 신속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금융·외환 당국에 ‘24시간 모니터링 체계’ 가동도 주문했다.

이 대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절차에 대해서는 “일단 밟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너무 많은 탄핵은 국정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이라는 설명을 달았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 대표 제안을 거부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마치 탄핵안 (가결) 이후 여당이 된 것처럼, 국정 운영 책임자가 된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이 대표를 겨눴다. 권 원내대표는 “고위당정 또는 실무당정협의 등을 통해 윤석열정부 임기 끝까지 여당으로서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통화에서 “지금부터는 이재명의 시간”이라며 “이 대표가 이제까지는 공격과 비판만 해 왔는데 이후 정국은 이재명의 책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권 후보가 되느냐, 못 되느냐 하는 것도 향후 몇 달간 국정 최고지도자로서의 능력을 보여주느냐 여부에 달렸다”며 “찬스가 왔지만 위기가 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이경원 송경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