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떠나려는 청년 10명 중 7명이 ‘일자리’를 이유로 꼽았다. 부산 청년층 10명 중 2명은 타 지역으로 이주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가 직면한 청년 유출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청년층을 위한 실질적 일자리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시는 8월 23일부터 9월 12일까지 시민 3만11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 부산사회조사’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건강, 안전, 환경, 가족, 사회통합 등 5개 부문에 걸쳐 시민들의 의식과 생활 수준을 분석했다.
청년층 조사에서 이주 계획이 있는 응답자의 66.5%가 ‘구직·취업·직장’을 이유로 들었다. 2022년보다 5.0%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경제적 불안정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시민 건강 관련 조사에서는 10명 중 8~9명이 부산 내 의료기관을 이용했으며, 의료 서비스 만족도는 73.9%였다. 운동 비율은 54%였고, 주로 인근 공원에서 운동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건강 관리의 중요한 요소로는 ‘적절한 식사와 영양 보충(49.3%)’이라고 답했다.
부산의 사회 안전도는 46.0%가 ‘안전하다’고 평가했으며, 다른 지역보다 안전하다는 응답이 61.3%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과 범죄 예방을 안전 우선 과제로 생각했다.
환경 부문에서는 녹지 환경 만족도가 43.9%로 가장 높았으며, 소음과 진동은 27.6%가 불만족을 표했다.
가족 부문에서는 자녀와 따로 생활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출산율 증가를 위해 보육료 지원(18.6%)과 소득 증대(16.5%)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