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계엄 전말 밝힐 김용현 비화폰 확보… 조지호·김봉식 구속영장

입력 2024-12-12 19:06 수정 2024-12-12 23:56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가 12일 계엄사령부와 관련한 합동참모본부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입구에 있는 민원실로 걸어가고 있다. 김지훈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이 12일 국방부를 압수수색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사용했던 비화폰(도청방지 휴대전화)을 확보했다. 경찰은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구속영장도 신청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국방부 조사본부가 함께하는 공조수사본부는 이날 첫 합동 압수수색에서 비화폰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공수본은 육군 수도방위사령부도 압수수색해 비화폰 서버 자료를 확보했다. 김 전 장관이 계엄 선포 및 유지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비화폰을 사용해 의견을 나눴던 만큼, 비화폰은 계엄 전말을 밝혀줄 결정적 단서로 여겨진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이날 합동참모본부 측으로부터 비상계엄 관련 자료도 임의제출 받았다. 계엄 선포를 전후해 계엄사령부가 상황실로 사용했던 합참 지하 지휘통제실의 3~4일 치 CCTV 영상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수단은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에 대해 형법상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특수단은 “조사 결과 그간 조 청장이 국회에서 했던 발언과 달리 비상계엄 발령 수 시간 전에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을 만나 비상계엄 관련 내용을 들었던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앞서 조 청장은 지난 3일 밤 경찰청장 공관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청장과 함께 계엄 선포 3시간 전 서울 종로구 대통령 안가에서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 관련 지시 사항을 하달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 청장과 김 청장은 지난 11일 새벽 특수단 조사를 받던 중 긴급체포돼 서울 남대문경찰서에 수감 중이다. 김 청장은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포기 의사를 밝혔지만, 조 청장은 영장실질심사를 받을 예정이다.

비상계엄 사태 당일 ‘서울경찰청 지휘망 녹취록’도 국회를 통해 공개됐다. 녹취록에 따르면 김 청장은 포고령 1호를 근거로 무전을 통해 국회 전면 통제를 여러 차례 직접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군 병력이 국회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줬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조규홍 장관을 서울중앙지검으로 불러 지난 3일 밤 윤 대통령이 소집한 이른바 계엄 국무회의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검찰은 당시 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을 차례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또 육군 수도방위사령부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수방사 병력이 국회에 투입된 경위 등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확보했다. 내란과 직권남용 등의 혐의를 받는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도 이틀 만에 재소환했다.

신재희 성윤수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