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원칙을 지킨다는 것

입력 2024-12-16 00:32

원칙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행동이나 이론에서 일관되게 지켜야 하는 기본적 규칙이나 법칙이다. 요즘 세상은 너무나 빠르게 변하고 복잡하고 불확실해 정말 원칙이 있는 것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 필자는 40여년 동안 중·고등학교 교사로 연구원으로 그리고 대학교수로 재직했고 지금은 모교인 대광고등학교에서 교장으로 섬기고 있다. 오랜 기간 교육 경험을 통해 힘들고 어려울수록 기본으로 돌아가 원칙을 생각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는 지혜를 알게 됐다.

지금 학교는 입시 준비 기관으로 변하고, 사교육으로 황폐해지고 있다. 학령인구 급감, 동성애와 차별금지법 등 포괄적 성교육에 대한 민감한 논쟁들도 있다.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는 기독교 학교이고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라 재정적으로 매우 어렵고, 건학이념 구현에도 장애 요인이 많다. 내적 외적 어려움이 있지만, 어려울수록 기본으로 돌아가 원칙을 찾아야 한다.

대광고는 1957년 서울신문사가 주최한 서울시 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6월 30일 결승전이 열린 날이 주일이어서 학생들은 지도교사로부터 주일 출전 불가 통지를 받았지만, 학교 허가 없이 결승전에 출전해 이겼다. 학교와 재단 이사회는 상벌위원회를 소집하고 선수 전원에게 정학을 결정했다. 축구부 지도교사는 사표를 제출했다. 학교 당국은 주일 출전의 책임이 지도교사나 선수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교직원 전체에 있다고 보고 지도교사의 사표를 반려하고 선수들의 처벌도 일주일 만에 해제했다. 전 교직원은 일주일간 특별기도회 시간을 별도로 가졌다.

다저스 구단의 샌디 쿠팩스 선수는 1965년 월드시리즈 1차전에서 투수로 나설 최고의 기회가 있었지만, 이 경기가 유대교의 속죄와 회개의 날인 욤 키푸르와 겹친 것을 이유로 경기를 포기했다. 유대인들은 경제활동을 할 때 탈무드에서 강조하는 공정한 거래와 이웃을 속이지 말라는 가르침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이런 원칙은 비즈니스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적용돼 그들의 정체성과 사회적 존중을 유지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원칙을 지키는 것은 개인과 조직, 그리고 사회 전체의 신뢰와 가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지금 혼동과 위기의 시대에 직면해 있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먼저 우리가 지켜야 할 원칙을 돌아봐야 한다. 복잡하고 불확실하다고 원칙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해 보자. 60여년 전 선배들이 원칙을 지키려고 고뇌하며 힘든 결정을 하고 일주일간 특별기도회를 하던 그 열정은 내 가슴속에 과연 존재하는가. 자문하며 낙엽 깔린 교정을 거닐고 있다.

조순묵 대광고등학교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