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없는 조국혁신당… 비례 13번 백선희 교수 의원직 승계

입력 2024-12-13 04:00
김선민(가운데) 의원 등 조국혁신당 의원들이 12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자녀 입시비리 등 혐의로 징역 2년 실형이 확정된 조국 전 대표 선고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12일 징역 2년형 확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하고 대표직도 내려놨다. ‘조국 없는 조국혁신당’이 현실화된 것이다. 당의 간판을 잃은 ‘12석 제3당’ 혁신당은 “흔들림 없이 할 일을 하겠다”고 했지만, 그 앞날은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조 전 대표는 대법원 선고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제가 없다고 해도 혁신당의 의원 12명과 당원, 지지자는 유지될 것”이라며 “저의 구속·구금 문제보다 (혁신당에) 더 중요한 건 윤석열 내란 수괴의 직무정지 즉 탄핵이고, 제가 없더라도 그 점은 전혀 변동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4월 총선 당시 ‘3년은 너무 길다’는 슬로건과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를 앞세워 창당 한 달여 만에 혁신당을 원내 3당으로 이끈 조 전 대표의 부재는 그 자체로 당에 커다란 타격일 수밖에 없다. 김보협 수석대변인은 “정치적 격변기에 혁신당을 앞장서서 이끌어 왔던 분의 부재는 저희에게 대단히 큰 손실”이라며 “조 전 대표도 ‘윤석열 구속과 탄핵을 현장에서 보지 못하는 점이 안타깝다’고 했다”고 말했다.

혁신당은 일단 사전에 대비했던 절차에 맞춰 ‘포스트 조국 체제’를 차분하게 준비하는 분위기다. 조 전 대표 궐위 상황은 예견 가능했기 때문에 당대표 궐위 시 가장 많은 득표로 선출된 최고위원이 당대표 권한을 대행토록 미리 당헌 규정도 정비했다. 이에 수석최고위원인 김선민 의원이 바로 조 전 대표 역할을 이어받았다. 혁신당은 향후 전국당원대회를 열어 새 당대표 선출 절차도 진행할 계획이다.

조 전 대표의 의원직은 총선에서 비례대표 13번을 받았던 백선희 당 복지국가특별위원장이 승계한다. 문제는 14일 국회 본회의까지 의원직 승계가 완료되지 못할 경우 백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할 수 없다는 점이다. 야권 입장에서 한 표가 아쉬운 상황에서 찬성표가 1표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비례대표 승계는 법원이 국회에, 국회의장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통보하면 선관위가 10일 이내에 승계자를 결정, 국회에 통보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조 전 대표는 “승계 절차가 빨리 이뤄지도록 (선관위에) 요청해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선관위 측도 “국회에서 결원 통지를 받아 당적조회 등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절차는 통상 하루이틀 걸리는데, 최대한 빨리 진행하려 한다”고 말했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잠재적 대선 후보였던 조 전 대표를 잃은 혁신당이 어떤 생존 전략을 마련해나갈지도 주목된다. 정권교체를 위해선 야권의 단일대오가 필요하다는 논리로 민주당과의 합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 수도 있다.

다만 아직은 민주당 내에서도 혁신당과의 통합에 선을 긋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민주당 의원은 “민주당 체중이 너무 불어나 다양성이 상실됐다는 우려가 제기된다”며 “정의당도 없는 상태라 혁신당이 민주당 바깥에서 개혁·진보 목소리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게 민주당 입장에서도 낫다”고 말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