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혼란이 확산되면서 노조들이 잇따라 파업과 탄핵 집회 참여를 선언하고 있다. 재계는 노조의 정치화에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12일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은 성명문을 발표하고 이번 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참여할 것을 선언했다. 전삼노는 ‘윤석열을 즉각 탄핵하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계엄 포고령에 ‘사회 혼란을 조장하는 파업, 태업, 집회행위를 금한다’는 문구를 포함한 것은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삼권과 결사의 자유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전삼노는 윤석열 탄핵 투쟁에 연대할 것이며, 탄핵 집회에서 전삼노의 깃발이 힘차게 휘날릴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일부 전삼노 노조원들은 사측과의 임금 협상 등이 시급한 상황에서 집행부가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 것에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도 11일부터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약 1만명 규모의 민주노총 노조원들은 광화문에서 대통령실 방향으로 행진을 하기도 했다.
삼성·SK·LG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기업 활동을 자제한 채 노조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상황이 워낙 유동적이어서 지금은 어떤 발표도 하지 않고 차분하게 지내자는 분위기”라며 “연말 불우이웃 성금이나 봉사활동 자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제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요 경제단체들 또한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공식 논평을 자제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파업 중단 요구만큼은 분명히 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전날 “금속노조의 총파업은 사회 혼란과 민생 경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는 만큼 자제해야 한다”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재계는 노조가 정치적 활동보다는 회사와 소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노조 활동은 본래 회사 발전을 위한 것”이라며 “지금 같은 어려운 시기에 노조가 기업 발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