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은 딥페이크 성범죄 발생 시 불법 영상물이 온라인으로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는 상황을 가장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를 당했을 때 필요한 도움으로도 ‘신속한 삭제’를 1순위로 꼽았다. 디지털 영상물은 일단 유포되고 나면 확산 속도가 빠르고 완벽한 삭제가 쉽지 않아 신속한 초기 대응과 예방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11일 이 같은 내용의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 관련 청소년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달 5~27일 중·고교생 21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72.2%(이하 중복응답)는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이 두려운 점에 대해 ‘인터넷에서 사진·영상이 계속 퍼지는 것’이라고 응답했다. ‘가짜 영상을 진짜로 오해할 수 있다’가 59.8%, ‘학교생활에 어려움’이 49.3%로 뒤를 이었다. 유포·확산 공포는 여학생이 81%로 남학생 62.8%보다 높았다.
딥페이크 성범죄 발생 시 필요한 도움에는 ‘피해 영상물 삭제 지원’(8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신속한 수사 및 사건해결’(74.2%)이나 ‘개인신상정보 삭제 및 보호 지원’(71.9%)보다 우선순위가 높았다. 학교에서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을 막는 방안으로는 ‘예방교육 및 인식 개선’ 85.5%, ‘빠르고 확실한 처벌’ 79.8%, ‘탐지 소프트웨어 등 기술적 대응책 마련’ 55.5% 순이었다. 하지만 학교에서 딥페이크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는 비율은 51.6%에 그쳤다. ‘기억나지 않는다’는 응답이 25.6%, ‘교육받은 적 없다’가 22.8%였다.
딥페이크 성범죄 발생 이유에 대한 인식에서도 예방교육 강화 필요성이 확인됐다. 딥페이크 성범죄 발생 원인을 ‘장난으로’라고 답한 비율이 54.8%나 됐다. ‘성적 호기심 때문’ 49.3%, ‘해도 들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해서’ 44.1%, ‘들켜도 처벌이 약해서’ 38.2%, ‘심각하게 잘못된 행동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31.4% 순이었다. 박성민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딥페이크 성범죄를 심각한 범죄로 생각하도록 예방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