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노사 협상 타결… 일주일 만에 총파업 철회

입력 2024-12-12 01:26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 닷새째인 지난 9일 경기도 의왕시 오봉역에 화물열차가 정차해 있다. 연합뉴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의 임금교섭이 진통 끝에 타결됐다. 총파업이 시작된 지 일주일 만이다.

코레일은 철도 노사가 전날 오전 10시부터 약 30시간에 걸쳐 교섭을 갖고 11일 오후 3시35분쯤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철도노조도 총파업을 철회하고 이날 오후 7시부터 업무에 복귀했다.

앞서 철도 노사는 지난 8월부터 4개월 간 17차례에 걸쳐 협상을 진행했지만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주요 쟁점은 임금인상 및 성과급·체불임금 정상화, 4조 2교대 시행, 인력충원, 공정한 승진을 위한 승진포인트제도 실시, 노동 감시카메라 설치 여부 등이었다.

잠정 합의안에 따르면 노사는 올해 임금을 기본급 대비 2.5%이내로 인상하고, 국토부 승인을 통해 조속한 시일 내에 4조 2교대를 시행하기로 했다.

임금동결·임금체불의 원인이 된 성과급 문제는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의 중재에 따라 내년 정부가 참여하는 연구용역을 통해 개선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신규노선 등은 외주화를 중단하고 부족한 인력을 충원하기로 했으며, 승진포인트제도는 내년부터 시행한다.

최명호 철도노조 위원장은 “철도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국민의 삶을 연결하고 안전을 보장하며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는 중요한 공적 자산”이라며 “윤석열정부는 임기 내내 철도민영화를 꾀했지만, 민영화와 외주화는 오직 이윤만을 가져오고 그 대가로 국민의 안전을 희생시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공성이야말로 민주주의를 더욱 성숙시키는 길”이라며 “철도노동자는 앞으로도 공공성을 지키고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자칫 장기화 될 뻔했던 파업이 종료되면서 철도 이용과 화물열차를 통한 물류 이송 등에도 일단은 숨통이 트이게 됐다.

코레일은 파업 첫날인 5일부터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내 운행 계획보다 열차 운행 횟수를 추가하며 대응에 나섰다. 열차의 경우 평시 대비 약 70%, 전동열차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 계획 대비 100회 이상을 추가하며 80% 이상의 운행률을 유지했다. 화물열차 운행률은 평시 대비 약 13~35% 수준이었다.

코레일은 전동열차는 12일 첫차부터 모두 정상운행하고, KTX·무궁화호 등 간선 여객열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한다는 계획이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엄중한 시기 국민께 불편을 드린 점을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며 “노사가 힘을 모아 열차 운행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