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1930년대 복음의 희망을 잇다

입력 2024-12-14 03:06
1930년대는 일제강점기가 절정에 이른 암울한 시기였다. 하지만 당시 선교사와 한국교회 지도자들은 찬송가 재개정 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사진은 ‘신정찬송가’(오른쪽)와 ‘신편찬송가’ 표지 모습. 한국찬송가공회 제공

1930년대는 일제강점기가 절정에 이른 암울한 시기였다. 일본은 중일전쟁과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태평양전쟁으로 확전하며 제국주의 야욕을 드러냈다. 한글 사용 금지, 일본어 강제 사용, 창씨개명 등으로 조선인의 민족혼을 말살하려 했으며, 기독교인들에 대한 핍박도 날로 심해졌다. 하지만 이런 시기에도 외국인 선교사들과 한국인 기독교 지도자들은 복음전도와 함께 성경과 찬송가의 재개정 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이런 시기에 만들어진 찬송가집이 바로 ‘신정찬송가’(1931)와 ‘신편찬송가’(1935)였다. 먼저 신정찬송가는 1908년 장로교와 감리교가 연합해 만든 ‘찬숑가’(1908)를 개정 증보한 찬송가집이다. 제작을 위해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가 조직됐으며 아펜젤러 선교사가 위원장을 맡았다. 개정위원으로는 장로교의 공위량(William C Kerr) 안대선(W J Anderson) 선교사, 김인식 변성옥 목사가 참여했다. 1924년부터 4년간 진행된 개정 작업을 통해 314장이 선정됐다. ‘찬숑가’에서 절반 이상을 채택하고 청년찬송가(1922)에서 70편을 선별했으며 한국인 창작 찬송 6편도 수록됐다. 특히 김활란의 ‘캄캄한 밤 쌀쌀한 바람 불 때’와 남궁억의 ‘삼천리반도 금수강산’은 통일찬송가까지 이어진 대표적 한국인 작사곡이다.

신정찬송가는 가사와 음악의 억양을 자연스럽게 다듬고 원문의 의미를 충실히 살린 직역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직역을 고집한 나머지 한국인 정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기존 가사의 자연스러움을 해쳤다는 비판도 있었다. 신정찬송가 314장 중 80여곡이 통일찬송가(1983)에 수록됐으며, 이 중 66곡은 번역이 그대로 유지됐다. 통일찬송가에 실린 대표적인 곡은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영광 나라 천사들아’ ‘나의 사랑하는 책’ ‘주 예수 내가 알기 전’ 등이다.

‘신정찬송가’는 원래 장로교와 감리교가 함께 사용하기로 하고 제작에 들어갔으나 여러 이유로 장로교가 사용을 거부하자 감리교회만 사용하게 됐고 장로교는 단독으로 ‘신편찬송가’를 제작한다. 신편찬송가는 장로교 총회 종교교육부에서 직접 제작했기 때문에 신편찬송가의 판권과 판매 등은 장로교 총회에서 관리했다.

신편찬송가는 총 400장으로 구성되었다. ‘찬숑가’를 기초로 40곡을 삭제하고 신정찬송가에서 70장을 선택했으며 100곡을 새로 추가했다. 기존 ‘찬숑가’에 수록된 동일한 곡의 구성을 유지함으로써 교인들의 혼란을 최소화했다. 신편찬송가의 서문 격인 ‘사례의 말씀’에는 미국 장로교 총회 발간 가곡풍 찬송가 채택, 성결교 부흥성가 수용, 300여명의 조선 목사와 40명의 교회 찬양대 인도자 의견 청취, 안대선 선교사와 현제명의 편집, 참여 등 주요 편집 방향이 기록돼 있다.

신편찬송가의 번역본 찬송가가 통일찬송가에 그대로 채택된 곡은 총 58편이다. 지금도 애창되는 대표적 찬송의 사례를 들면 ‘저 들 밖에 한밤중에’ ‘예수 앞에 나오면’ ‘내 영혼의 그윽히 깊은 데서’ ‘만세 반석 열린 곳에’ ‘큰 영광 중에 계신 주’ ‘참 아름다워라’ ‘주 안에 있는 나에게’ ‘달고 오묘한 그 말씀’ ‘옳은 길 따르라 의의 길을’ ‘주여 지난 밤 내 꿈에’ 등이다.

신정찬송가와 신편찬송가는 일제의 강탈이 절정으로 치닫기 시작한 암울한 1930년대에 제작된 찬송가집이다. 따라서 두 찬송가집의 제작 과정과 편집 등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이 있을 수 있다. 신편찬송가의 경우 기독교인인지 정확히 알 수 없는 문인 춘원 이광수가 10곡 넘게 신편찬송가를 번역하고 윤문한 일이나, 이용도계 이단 논란을 받았던 전영택 등이 번역자로 선정된 점 등이 그런 비판 중 하나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도 복음의 희망을 이어가고자 했던 선배들의 노력은 시대적 맥락 속에서 재평가돼야 할 것이다.

김용남 한국찬송가공회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