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이 일제히 정부의 의대 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후보들이 모두 투쟁론만 내세우고 있어 의·정 갈등 해소는 갈수록 요원해 보인다.
의협은 10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제43대 회장 선거 후보자 합동 설명회를 열었다. 출마한 5명의 후보가 모두 참여했다.
전국광역시도의사협의회장인 김택우 후보는 “정부의 무모한 의료개혁 추진을 막고, 의대 증원 문제를 풀어가는 데 협회의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미래의료포럼 대표인 주수호 후보는 “정부와 정치권이 ‘의사들이 하는 얘기를 들어야겠다’는 자세를 갖출 때까지 싸울 수밖에 없다”며 강경 투쟁 입장을 밝혔다.
전공의를 위한 투쟁과 지원도 약속했다. 의협 대변인인 최안나 후보는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으면 처단한다’는 정부를 어떻게 믿고 돌아갈 수 있겠냐”며 “전공의에 대한 불합리한 규정을 임기 내 고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의사회장인 이동욱 후보 역시 “모두 경찰 처벌이 두려워 전공의 지원을 주저할 때 가장 선봉에 서서 전폭적인 지원을 해왔다”고 말했다. 주 후보는 “전공의를 보호하기 위해 회장이 감옥을 가야 한다면, 명예롭게 생각하고 그 길을 기꺼이 갈 것”이라고도 했다.
의협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울의대 교수인 강희경 후보는 “의협은 의사들의 권익단체가 아닌, 의료정책을 선도하고 국민을 함께 보호하는 의협이 돼야 한다”며 “의협이 나서서 장기적인 보건의료계획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의료계에선 그동안 온건파로 분류됐던 김 후보와 강 후보도 강경 투쟁론으로 돌아선 것으로 보고 있다. 계엄 포고령에 담긴 ‘전공의 미복귀 시 처단’ 표현으로 의료계 반발이 더 커진 만큼 차기 회장은 강경 일변도일 가능성이 커졌다. 의협 회장 1차 투표는 내년 1월 2~4일 전자투표 방식으로 실시된다. 과반 득표 후보가 나오지 않으면 1월 7~8일 결선 투표를 진행한다.
김유나 이정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