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출국금지 소식을 자세히 보도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는 “한국인들은 윤 대통령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누가 국가를 통치하고 있는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며 “법무부가 윤 대통령의 출국을 금지하고 그의 계엄령 선포가 반란을 주도한 것인지를 두고 수사가 이어지는 동안 한국의 정치적 기능 장애는 더 깊어졌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윤 대통령은 탄핵 표결에서 살아남았지만 그의 대통령직은 식물 상태”라며 “정부와 군 당국이 그의 권위를 약화시켰다”고 보도했다. CNN도 출국금지 소식을 보도하며 “윤 대통령의 정치적 생존은 이제 위태로워졌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미 국무부 매슈 밀러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한국 측 상대가 현재 누구냐는 질문에 “윤 대통령이 한국의 대통령”이라며 “한국 내 정치적 절차는 당연히 한국의 법률과 헌법하에서 전개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현재는 한·미 정상 간 소통 계획에 대해 언급할 것이 없다”며 “그것은 백악관이 할 일”이라고 말했다.
밀러 대변인은 계엄 사태 이후 한국 상황에 대해 “정치적 이견이 법치주의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기대한다”며 “이 시련과 불확실성의 시기에 우리가 보길 원하고, 지난 며칠간 기쁘게 본 것은 한국의 민주적 회복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법적 절차와 정치적 절차는 법치주의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전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밀러 대변인은 한국의 정치 혼란이 한·미 관계에 미칠 영향을 질문받자 “한·미동맹은 여전히 철통같다”며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연기된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와 도상연습에 대해 “일정 재조정과 관련해선 할 이야기가 없다”고 말했다.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고위급 외교 당국자 간 협의에 관해선 “이 행정부에서 한·미·일 3자 공조 강화는 중요한 (외교적) 관여였고, 우리는 임기 마지막 날까지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