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사업자별로 개별 운영돼 온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앞으로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시민들에게 충전소 정보를 더 빠르게 제공하고, 충전기 고장 등으로 인한 신고 창구를 통합해 불편에도 빠르게 대응할 계획이다.
시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품질 강화를 위한 ‘서울형 급속충전기 통합 관리 체계 및 인증제’를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인증된 충전기는 10일부터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는 이용자가 인증된 충전기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브랜드(BI)도 부착한다.
지난 10월 기준 서울 시내 전기차는 8만2000대, 충전기는 7만2000기로 집계됐다. 세계 평균(충전기 1기 당 10대) 대비 높은 충전기당 차량 비율(충전기 1기 당 1.1대)을 기록한 것이다.
다만 그간 50여개의 충전 사업자가 서로 다른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충전기를 운영하면서, 이용자들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고장 발생 시 대응이 느리고, 유지 관리가 미흡하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시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1차로 지난 4월부터 시 재원이 투입된 충전기 1000대를 통합해 제조사별 고장 코드를 표준화했다. 기존 최대 1시간 이상 걸렸던 충전소 정보제공 통신 주기 또한 1분 이내로 통일했다. 시는 향후 민간 충전기까지 통합 관리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국내 최초로 ‘서울형 급속충전기 인증제’도 도입했다. 전기·통신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인증심의위원회가 ‘충전 성능’, ‘통신 적절성’, ‘유지관리 체계’ 등 3개 분야, 9개 세부 항목을 종합적으로 검증한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