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요청에… 법무부, 사상 초유 현직 대통령 출금 조치

입력 2024-12-09 18:58 수정 2024-12-09 23:57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이 9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경찰의 비상계엄 특별 수사와 관련한 첫 브리핑을 하고 있다. 우 본부장은 “이번 수사를 둘러싼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국수본은 내란죄의 수사 주체로서 무겁게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최현규 기자

법무부가 9일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정점인 윤석열 대통령을 출국금지 조치했다. 현직 대통령이 수사 대상이 돼 출국금지까지 된 전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윤 대통령 신병 확보 필요성도 시사했다. 경찰도 윤 대통령의 긴급체포 가능 여부를 검토하는 등 각 수사기관이 윤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를 본격화하는 태세다.

공수처 비상계엄 수사 TF(팀장 이대환 부장검사)는 이날 내란, 직권남용 등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에 대한 출국금지를 신청했고, 법무부가 이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출입국관리법은 범죄 수사를 위해 출국이 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사람에 대해 출국을 금지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국정농단 의혹으로 검찰과 특별검사팀 수사를 받았던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출국금지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현직 대통령을 출국금지할 경우 외교 업무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 적절치 않다는 주장도 제기한다. 하지만 이미 정부와 여당은 ‘윤 대통령이 외교를 포함한 국정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이창현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윤 대통령이 외교 활동을 위해 출국할 가능성은 상정할 수 없다”며 출국금지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현재까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등을 출국금지 조치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 신병 확보 필요성도 내비쳤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윤 대통령 구속 의지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적극적으로 수사하고 신병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며 “국가를 구한다는 심정으로 하고 있다”고 했다. 오 처장은 김건희 여사 출국금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공수처는 검찰과 경찰에 이첩 요청권을 행사한 데 대해 “내란죄 수괴에 대해 구속 수사를 원칙으로 수사하려는 의지”라고 밝혔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윤 대통령 긴급체포 가능성에 대해 “요건에 맞으면 할 수 있다. 검토가 우선”이라고 했다. 경찰은 이날까지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4명, 군 관계자 8명을 참고인으로 조사했고, 선관위 CCTV를 전부 임의제출 받아 확보했다고 밝혔다.

조지호 경찰청장은 국회 법사위에 출석해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3일 10시30분~10시40분쯤 여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 주요 정치인에 대한 위치 추적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으나 응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조 청장은 “한 대표는 처음 불러준 명단에 없었고 그 뒤에 다시 전화가 와서 한 명 추가라고 해서 들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여 전 방첩사령관 등 방첩사 간부들 집무실과 공관 등을 압수수색했다. 특수본은 지난 8일 긴급체포된 김 전 장관을 이날 불러 3차 조사를 진행했다. 특수본은 박 육참총장과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등 군 장성들도 소환조사했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