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무한 추진을 예고한 상황에서 국민 74%가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71%는 탄핵 반대 입장을 밝혀 지난 7일 탄핵안 표결을 무산시킨 여당과 비슷한 궤를 보였다.
9일 국민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74%가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탄핵에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23%였고, ‘모름·응답거절’ 의견은 3%였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70% 이상의 찬성률을 보였다. 50대가 89%로 가장 높았고 40대와 18~29세가 각각 83%와 82%, 30대는 79%로 뒤를 이었다. 반면 70세 이상은 가장 낮은 43% 찬성률을 보였고, 60대의 경우 63%가 찬성 의견을 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가 93%로 가장 높았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은 77%였고 강원과 제주, 충청권(대전·세종·충청)이 각각 72%, 71%, 70%로 뒤를 이었다.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은 탄핵 찬성 의견이 54%로 가장 낮았지만 그래도 과반 찬성률을 보였다. 부산·울산·경남 찬성률은 69%였다.
정치 성향별 인식 차이는 뚜렷했다. 진보 성향 지지자는 91%가 찬성했고, 보수 성향 지지자는 50%가 반대했다. 중도 성향 응답자 79%가 탄핵에 찬성 의사를 밝히며 전체 여론의 무게중심을 찬성으로 쏠리게 했다. 중도 성향 응답자 중 탄핵 반대 의사를 밝힌 비율은 17%에 그쳤다.
지지 정당별로도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은 각각 96%와 97%의 지지자가 탄핵에 찬성했다. 반면 여당 지지자 가운데서는 찬성 의견이 25%, 반대 의견은 71%였다. 진보당과 기본소득당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전원 찬성했다.
응답자 직업별로도 탄핵 찬성에 대한 의견이 갈렸는데 학생군의 탄핵 찬성 응답 비율이 90%로 가장 높았다. 사무직이 83%, 기능직·서비스직과 자영업이 각각 78%와 75%로 뒤를 이었다. 주부와 ‘무직·은퇴·기타’ 그룹이 각각 63%와 56%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농업·임업·어업 종사자 가운데서는 36%만이 탄핵에 찬성했다. 한국갤럽 측은 “보수층이나 국민의힘 지지층은 2016년 탄핵 경험의 영향으로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비판과 윤 대통령 탄핵을 다른 차원의 문제로 보는 것 같다”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존재도 탄핵 우려 심리와 연결돼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민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지난 6~7일 진행됐다. 무선전화 인터뷰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여론조사 대상자는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정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응답률은 15.4%였다.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가중이 적용됐다. 이밖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